"세마글루티드, 1형 당뇨병 초기 치료에도 효과"

 2형 당뇨병 치료제 세마글루티드(제품명: 오젬픽)가 1형 당뇨병 초기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당뇨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2형 당뇨병은 인슐린 생산이 부족하거나 세포가 인슐린을 활용하는 기능이 떨어져 발생하지만 1형 당뇨병은 이와는 달리 면역체계가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의 베타 세포를 공격, 인슐린이 아주 적게 혹은 거의 생산되지 않아 발생하는 일종의 자가면역 질환이다.

 환자는 평생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한다.

 미국 뉴욕 주립대학 의대 내분비내과 전문의 파레쉬 단도나 박사 연구팀이 1형 당뇨병 진단을 받은 지 3개월이 안 된 성인 환자 10명(21~39세, 여성 5명, 평균 BMI 25.1)을 대상으로 진행한 예비 임상시험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이 중 4명은 진단 때 당뇨병성 케톤산증이 있었고 나머지는 다뇨증, 다음증, 체중 감소 증상을 보였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이와는 다른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즉 1형 당뇨병으로 진단된 지 얼마 안 된 환자에게 세마글루티드를 인슐린 대신 사용할 수 없겠느냐는 것이다.

 1형 당뇨병으로 처음 진단된 환자는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아직은 다소 남아 있는 상태인 만큼 인슐린 필요가 그리 크지 않다. 이를 1형 당뇨병의 '밀월기'(honeymoon phase)라고 한다.

 연구팀은 바로 이때 세마글루티드를 투여하면 베타 세포의 기능을 어느 정도 개선해 인슐린 주사를 중단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세마글루티드는 혈당이 올라갈 때 베타 세포를 도와 보다 많은 인슐린을 만들도록 도움을 주기 때문에 간(肝)에서 너무 많은 당이 분비되는 것을 막는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팀은 1형 당뇨병 진단을 받은 지 3개월이 안 된 성인 환자 10명에게 처음엔 혈당이 위험한 수준으로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매우 낮은 용량(0.125mg)의 세마글루티드를 매주 한 번씩 주사했다.

 그러다가 세마글루티드 용량을 최대 0.5mg까지 서서히 올리면서 동시에 식후 인슐린 주사의 용량을 그에 맞게 줄였다.

 그러자 6개월이 되기 전에 10명 모두가 식사 때 인슐린 주사를 끊을 수 있었다. 7명은 지속형 인슐린 주사도 끊었다.

 이러한 상태는 1년 후까지 지속됐다.

 1년 후 장기 혈당을 나타내는 당화혈색소(A1c) 수치는 목표 범위보다 훨씬 낮은 6% 아래로 떨어졌다.

 이에 대해 1형 당뇨병 연구를 지원하는 1형 당뇨병 연구 재단(JDRF)의 조시 비에트 연구실장은 1형 당뇨병 초기 '밀월기'의 연장이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기대되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환자의 베타 세포에 더 많은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다는 이론적인 단점이 있으며 이것이 장기에 걸쳐 베타 세포의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문제라면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비에트 실장은 강조했다.

 이는 불과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나온 결과이기 때문에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의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다.

 세마글루티드는 장기 지속형(long-acting)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수용체 길항제로 인슐린 분비를 자극해 혈당을 떨어뜨린다. 2017년 12월 미국 식품의약청(FDA)으로부터 2형 당뇨병 치료제로 승인받았다.

 이 연구 결과는 의학 전문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피부 재생 돕고 손상된 촉각 정보 전달하는 인공피부 개발
국내 연구진이 화상이나 사고, 피부질환 등으로 신경조직까지 손상된 피부의 재생을 돕고 촉각 정보를 감지해 신경에 전달할 수 있는 인공피부를 개발, 생쥐모델 실험에서 효과가 확인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생체재료연구센터 정영미 박사, 스핀융합연구단 이현정 박사 연구팀이 연세대 유기준 교수, 성균관대 김태일 교수와 공동으로 인체 이식형 촉각 기능 스마트 바이오닉 인공피부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신경조직 손상을 동반한 심각한 피부 결손은 정신적, 신체적 고통은 물론 생명 유지 활동에 필수적인 감각인지 기능 상실을 유발하는데, 손상 부위에 인공피부를 이식하는 수술적 치료는 가능하지만, 현재 개발된 인공피부는 피부조직과 유사한 구조와 환경을 제공해 피부재생을 도울 수는 있어도 감각을 회복시키지는 못한다. 연구팀은 그러나 이번에 개발한 스마트 바이오닉 인공피부는 피부재생을 돕는 생체적합성이 높은 소재와 전자소자로 구현된 촉각 전달 시스템이 융합돼 영구적으로 손상된 촉각까지도 복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피부의 주요 성분인 콜라겐과 피브린(fibrin)으로 구성된 하이드로겔로 만든 인공피부에 유연 압력 센서를 삽입, 인공피부에 가해지는 미세한 압력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