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불안장애, 중추신경계 질환 '다발성 경화증' 예고?"

 우울증, 불안장애 등 정신 질환이 중추신경계 질환인 다발성 경화증(MS)을 예고하는 신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다발성 경화증은 면역체계가 뇌와 척수 등 중추신경계를 산발적으로 공격해 발생하는 일종의 자가 면역 질환으로 평형, 운동, 시력, 언어, 감각, 성 기능, 배뇨·배변 장애, 인지장애 등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난다. 현재 완치 방법은 없다. 유병률은 여성이 남성의 4배로 압도적으로 높다.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 의대 신경과 전문의 헬렌 트렘리트 박사 연구팀이 브리티시 컬럼비아주에 거주하는 다발성 경화증 환자 6천863명과 다발성 경화증이 없는 환자 3만1천865명의 의료기록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17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다발성 경화증 환자들이 임상적 증상이 나타나기 전 5년 동안 우울증, 불안장애, 조울증, 조현병 등 정신 질환의 유병률을 살펴봤다.

 진단 5년 전부터 진단된 해에 1년 더 가까이 갈수록 이러한 격차는 더욱 크게 벌어지다가 진단 전 마지막 해에 절정에 이르렀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다발성 경화증 예고 신호는 정신 질환만은 아니겠지만 다발성 경화증의 전구증상 수수께끼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여기에 다른 전구증상(피로, 수면장애, 과민성 장 증후군, 빈혈, 통증)이 겹치면 가능성은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다발성 경화증을 미리 알 수 있다면 빨리 치료를 시작해 증상의 진행을 늦추고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의사에게는 다발성 경화증 진단이 쉽지 않다. 증상이 너무 다양해 다른 질환으로 오해하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진단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다발성 경화증은 시력장애 같은 신경세포의 탈수초 증상 출현이 임상적 시작인 것으로 오래전부터 생각되고 있다.

 미엘린 수초는 신경세포들을 연결하는 신경 섬유를 보호하기 위해 전선의 피복처럼 둘러싸고 있는 보호막이다. 다발성 경화증은 면역체계가 이 미엘린 수초를 공격, 신경세포 사이의 신호 전달을 방해함으로써 발생한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학회 학술지 '신경학'(Neur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전염병이 쓴 지구의 역사…'균은 어떻게 세상을 만들어 가는가'
"정복자들이 중남미를 그토록 단호하게 정복할 수 있었던 이유가 총과 쇠로 설명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답은 간단하다. 균, 균, 균이다." 영국의 저명한 사회학자인 조너선 케네디 런던퀸메리대 교수는 신간 '균은 어떻게 세상을 만들어 가는가'(아카넷)에서 인류 문명의 흥망성쇠를 이끈 진정한 주역은 '균'이었다고 단언한다. 저자는 자신의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호모사피엔스가 어떤 이유로 다른 인류 종을 밀어내고 지구를 지배하게 됐는지부터 설명한다. 그는 호모사피엔스의 승리가 단순히 더 뛰어난 지능이나 우월한 문화 때문이 아니라, 아프리카에서의 오랜 진화 과정에서 얻은 강력한 면역 체계 덕분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 같은 다른 인류 종은 호모사피엔스가 옮긴 병원균에 취약해 결국 멸종의 길을 걸었다고 말한다. 호모사피엔스의 승리는 수만 년 뒤 아메리카 대륙에서 그대로 재현된다. 1492년 콜럼버스가 대서양을 건너 신대륙에 도착하면서 유럽의 병원균이 아메리카 대륙에 상륙했고, 이는 아즈텍과 잉카제국의 몰락을 불러왔다. 스페인 정복자들의 총이나 말보다 훨씬 더 치명적이었던 것은 천연두와 홍역 같은 질병이었다. 500명 남짓한 병력을 이끌

메디칼산업

더보기
복지부, 新의료기기 '시장 즉시 진입' 기준·절차 마련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은 새로운 의료기기가 곧바로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시장 즉시 진입 의료기술' 제도 도입을 앞두고 정부가 그 기준과 신청 절차 등을 마련했다. 보건복지부는 별도의 신의료기술평가 없이 시장에 즉시 진입할 수 있는 의료기기 대상과 신청 절차 등이 담긴 '신의료기술평가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안을 최근 입법 예고했다. 신의료기술평가는 새로운 의료기술이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절차다. 안전성·유효성을 검증받은 뒤 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신설, 올 하반기에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입법예고된 개정안에서는 해당 제도의 대상과 신청 절차를 규정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국제적 수준의 임상 평가를 거친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의료기술은 시장에 즉시 진입할 수 있는 대상이 된다. 식약처의 의료기기 허가 단계에서 복지부와의 협의를 거쳐 새로운 의료기기 품목으로도 공고된다. 신의료기술평가 유예를 원하는 기업 등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이미 등재된 의료기술인지를 확인해달라고 신청하고,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즉시 시장에 사용 가능케 한다는 내용도 개정안에 담겼다. 해당 의료기기가 비급여로 시장에 진입한 후에도 환자 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