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이 쓴 지구의 역사…'균은 어떻게 세상을 만들어 가는가'

 "정복자들이 중남미를 그토록 단호하게 정복할 수 있었던 이유가 총과 쇠로 설명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답은 간단하다. 균, 균, 균이다."

 영국의 저명한 사회학자인 조너선 케네디 런던퀸메리대 교수는 신간 '균은 어떻게 세상을 만들어 가는가'(아카넷)에서 인류 문명의 흥망성쇠를 이끈 진정한 주역은 '균'이었다고 단언한다.

 저자는 균이 노예제 확산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가설도 내세운다. 서아프리카 출신 노예들이 카리브해와 아메리카 대륙으로 대거 끌려간 배경에는 황열병과 말라리아 같은 열대성 질병이 있었다는 것이다.

 유럽인들은 이들 질병에 취약했지만, 아프리카인들은 오랜 기간 형성된 면역 덕분에 살아남을 확률이 높았다. 결국 아이러니하게도 질병에 강하다는 이유로 아프리카인들은 노예로서의 상품성이 높아졌고, 이는 노예제가 확산하는 계기가 됐다고 저자는 설명한다.

 책은 단순한 전염병의 역사를 기술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균이 인간 사회의 구조를 어떻게 재편했는지, 어떻게 국가와 제국의 흥망을 가르고 경제와 노동 체계까지 변화시켰는지를 통합적으로 설명한다. 유전학, 인류학, 고고학, 경제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를 녹여내 방대한 역사적 스펙트럼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낸다.

 저자는 책 말미에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고 있다는 오만한 착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인간은 미시적인 세계에 초대받은 손님일 뿐"이라며 인간 중심적 사고방식에 일침을 가한다. 인류를 둘러싼 무수한 균들은 단순히 질병을 퍼뜨리는 존재가 아니라, 생명의 기초를 이루며 생태계의 다양성과 역동성에 깊이 관여해왔다고 강조한다.

 조현욱 옮김. 408쪽.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미네랄과 금식의 역설
◇ 알려지지 않은 무기질의 위험성 건강한 식생활에 꼭 필요한 요소로 비타민과 미네랄을 꼽는다. 그런데 독자 여러분은 미네랄 중에서도 먹어서는 안 되는 해로운 미네랄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우선 미네랄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겠다. 미네랄이라고 하면 대개 미네랄워터를 떠올릴 것이다. 미네랄워터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광물질이 미량 함유된 물을 뜻한다. 그렇다면 미네랄이란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광물질을 뜻한다. 그렇다. 미네랄은 광물, 광석, 무기물이란 뜻으로 무기질이라고도 한다. 무기물에 대해서는 과학 시간에 배웠을 것이다. 돌이나 흙을 구성하는 광물에서 얻을 수 있는 물질로, 탄소를 포함하지 않는 양분을 바로 무기물이라고 한다. 미네랄이라고 했을 때는 단순히 몸에 좋은 어떤 물질 같았는데, 그 정의를 파고들다 보니 함부로 먹어서는 안 될 것 같지 않은가? 실제로 그렇다. 우리가 흔히 섭취하는 미네랄 중에는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대표적인 예가 알루미늄이다. 음료수 캔이나 포일을 만들 때 쓰이는 은백색의 가볍고 무른 금속이다. 알루미늄 섭취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하면 대부분의 사람이 알루미늄을 왜 먹느냐고 생각할 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