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정보[연합]](http://www.hmj2k.com/data/photos/20231044/art_16986207122834_e3c66e.jpg)
연금을 수령하는 고령층(55∼79세)에서 3명 중 1명은 생활비를 벌기 위해 일자리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금을 받는 고령층의 절반이 취업자였으며, 연금을 수령하지 않는 경우 취업 비율은 더 올라갔다.
1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고령층 부가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연금을 받고 있다고 답한 고령층(778만3천명) 가운데 일자리를 원한다고 답한 사람은 479만4천명으로 61.6%를 차지했다.
이중 근로를 희망하는 이유를 '생활비에 보탬이 되기 위해서'로 답한 고령층이 248만2천명(31.9%)이었다.
'일하는 즐거움'(183만7천명·23.6%), '무료해서'(24만7천명·3.2%), '건강 유지'(13만5천명·1.7%) 등이 그다음이었다.
실제 연금을 받는 고령층 절반 이상이 일을 하는 상태였다. 연금을 수령하는 778만3천명 중 취업자는 390만8천명으로 50.2%를 차지했다. 5년 전인 2018년보다 취업자는 45.4%(122만1천명), 취업 비중은 6.4%포인트 늘었다.
연금을 수령하는 고령층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으나, 급여 수준은 생계를 꾸려가는 데 충분치 않은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연금통계 개발 결과'에 따르면 2021년 65세 이상 내국인 중 연금 수급자가 받는 월평균 금액은 60만원으로 5년 전인 2016년(42만3천원)보다 41.8% 늘었다.
그러나 이는 최소 생활비의 절반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국민연금연구원은 2021년 기준 개인이 노후에 기본 생활을 꾸려가기 위한 최소 생활비를 124만3천원으로 추정한 바 있다.
연금을 수령하지 않은 고령층의 경우 취업 의사가 더 높았다.
연금을 수령하지 않은 55∼79세(769만9천명) 중 일자리를 원하는 사람은 580만8천명으로 75.4%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근로 사유를 '생활비에 보탬이 되기 위해서'로 답한 사람은 343만명(44.6%)이었다.
연금을 수령하지 않은 고령층 가운데 취업자는 521만2천명으로 67.7%를 차지했다. 3명 중 2명꼴로, 연금을 받는 고령층보다 취업 비중이 더 높았다.
[표] 2023년 5월 고령층 연금 수령 여부별 근로 의사 및 사유 (단위: 명)
합계 | 연금 수령 | 연금 미수령 | ||
합계 | 합계 | 15,481,253 (100%) |
7,782,666 (100%) |
7,698,588 (100%) |
일자리 원함 | 합계 | 10,601,545 (68.5%) |
4,793,893 (61.6%) |
5,807,652 (75.4%) |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하고 싶어서/일하는 즐거움 때문에 | 3,778,684 (24.4%) |
1,836,727 (23.6%) |
1,941,957 (25.2%) |
|
생활비에 보탬이 되어서/돈이 필요해서 | 5,911,836 (38.2%) |
2,481,628 (31.9%) |
3,430,209 (44.6%) |
|
사회가 아직 나의 능력(기술)을 필요로 하므로 | 243,554 (1.6%) |
91,647 (1.2%) |
151,908 (2.0%) |
|
건강을 유지하려고 | 213,005 (1.4%) |
135,341 (1.7%) |
77,663 (1.0%) |
|
집에 있으면 무료하여/시간을 보내기 위해 | 452,930 (2.9%) |
247,015 (3.2%) |
205,915 (2.7%) |
|
원하지 않음 | 합계 | 4,879,708 (31.5%) |
2,988,772 (38.4%) |
1,890,936 (24.6%) |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고령층 부가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