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의사 소득, 근로자 평균의 최대 6.8배…OECD 중 격차 1위

소득 증가율도 평균 이상…OECD '한눈에 보는 보건의료 2023' 통계
한국, 수도권에도 의사 적어…여성 의사 비중 꼴찌 수준

 한국 의사의 소득이 전체 노동자의 평균 임금보다 최대 7배 가까이 많아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보다 압도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의사 수는 하위권으로, 수도권을 기준으로 봐도 다른 나라보다 적은 편이었다.

 ◇ 개원 전문의, 노동자 평균의 6.8배 벌어…격차 OECD 1위

 12일 OECD가 최근 공개한 '한눈에 보는 보건의료 2023'(Health at a Glance 2023)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 의사의 연평균 총소득은 고용 형태와 일반의, 전문의 등의 기준에 따라 전체 노동자보다 2.1∼6.8배 많았다.

 다만 한국의 경우 의사가 다른 노동자들보다 유난히 많은 소득을 벌어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개원의가 봉직의보다, 전문의가 일반의보다 임금이 더 많았다.

 전체 노동자 평균 임금 대비 한국 의사의 소득은 봉직 일반의가 2.1배, 개원 일반의가 3.0배, 봉직 전문의가 4.4배 많았다.

 특히 개원 전문의는 노동자 평균보다 6.8배 더 많은 수입을 올려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2011∼2021년 한국 의사의 연간 실질 보수 평균 증가율은 일반의 2.6%, 전문의 2.8%였다. OECD 23개국 평균 증가율은 일반의와 전문의 모두 1.8% 수준이다.

노동자 평균 임금 대비 의사 보수 비율(2021년)

 ◇ 한국 의사 수 OECD 하위권…수도권·지방 모두 평균 이하

 OECD 회원국에서 활동하는 의사는 2011년 350만 명에서 2021년 430만 명으로 늘었다.

 모든 OECD 국가에서 의사 수가 인구보다 더 빠르게 늘어나 1천명당 평균 의사 수는 같은 기간 3.2명에서 3.7명으로 늘었다.

 한국에서도 의사 수는 2.0명에서 2.6명으로 늘었다. 다만 여전히 OECD 평균(3.7명)에 못 미치고, 심지어 2011년 평균(3.2명)보다도 적다.

 의사의 대도시 쏠림 현상은 세계적인 현상이다.

 한국에서도 의사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각하다는 지적과 함께, 의사들이 지방에서 일할 수 있는 유인을 제공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그러나 OECD에 따르면 한국의 지역별 의사 밀도는 수도권을 포함한 모든 곳에서 상대적으로 적었다. 수도권 쏠림이 아닌, 의사 수 부족이 근본적인 문제라고 볼 수 있는 이유다.

 서울 등 수도권의 2021년 인구 1천명당 의사 수는 2.73명으로 한국에서 가장 많았지만, OECD 14개국 도시 지역 평균 의사 수(4.5명)보다 적고, 농촌 지역 평균 의사 수(3.2명)에도 못 미쳤다.

 각국 주요 도시의 인구 1천명당 의사 수는 체코 프라하(7.72명), 오스트리아 빈(7.04명), 미국 워싱턴DC(6.56명), 독일 함부르크(6.40명), 덴마크 코펜하겐 지역(5.14명), 벨기에 브뤼셀(4.09명), 튀르키예 앙카라(3.67명), 멕시코 멕시코시티(3.03명) 등으로 한국 수도권보다 많았다.

 한국의 여성 의사 비중은 전체의 25%로 일본(23%)에 이어 뒤에서 두 번째였다. 55세 이상 의사는  전체의 26%로 OECD 평균(33%)보다 적었다.

국가별 지역 간 인구 1천명당 의사 밀도(2021년)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지나친 저염 식단, 신장 손상 환자 회복에 악영향"
신장 기능이 악화한 사람이 과도하게 염분 섭취를 제한하면 오히려 신장 회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신장내과 장혜련·전준석·이경호 교수 연구팀은 최근 허혈성 급성 신장 손상 후 회복기의 식이 조절과 회복 연관성에 관한 논문을 학술지 '세포 및 발달 생물학 프런티어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장이 손상된 생쥐를 이용해 고염식과 저염식, 고단백식과 저단백식, 고지방식과 저지방식 등 다양한 조합의 식이가 회복에 주는 영향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회복기 지속적인 저염 식이는 염증성 변화를 유도하고 신장의 섬유화를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GF-β와 같은 신호 물질이 과활성화돼 신장 회복이 더뎌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설명이다. 저지방·저단백 식이도 염분 섭취와 무관하게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치유를 저해했다. 고염식도 신장 회복에 악영향을 주기는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만성 신장질환 환자에게는 저염 및 저단백 식단이 종종 권장되지만, 이런 식단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신장 섬유화를 촉진해 허혈성 급성 신손상의 회복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식이요법은 환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비약물 치료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