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액으로 급성반응물질 현장 분석"…휴대용 칩 개발

 국내 연구진이 체내 염증 및 감염으로 인한 급성 반응물질(CRP)을 집에서 편하게 타액으로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휴대용 칩을 개발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은 소재분석연구부 한도경 박사가 한양대 생명나노공학과 성기훈 교수 연구팀과 함께 사람의 혈액 외에 타액과 같은 비침습적 방법으로도 CRP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고감도 신속 진단용 종이 슬립 칩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CRP는 감염, 패혈증, 자가면역질환 등 염증성 질환 또는 심근경색, 악성종양, 외상, 수술 등 조직 손상이 발생하면, 수 시간 내에 혈류로 분비되는 대표적인 급성기 반응성 단백질이다.

 CRP 검사 수치가 정상 범위(혈청 1-3μg/㎖, 타액 0.5-10ng/㎖)를 넘어 고위험에 해당하면 그만큼 중증 세균, 바이러스 감염, 뇌경색, 심장질환, 암 등의 발병 우려가 큰 것이어서, 신속한 진단을 통해 질병 여부를 확인한 후 추가적인 정밀 검사를 해야 한다.

 공동 연구팀은 기존 진단 키트와 작동방식은 유사하지만, 고감도 비침습 분석이 가능한 신속 진단 슬립 칩을 개발했다.

 이 슬립 칩은 저비용의 종이 소재로, 종이 위에 친수성과 소수성 패턴을 디자인해 검체 시료와 검출 신호를 증폭해 주는 시약이 순차적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만든 분석 칩이다.

 분석 민감도를 확보하기 위해 자연계 효소를 모사한 다공성 백금 나노 소재(pPtNZ)를 개발, 이의 촉매 특성을 활용한 효소기질 반응을 통해 검출 신호를 증강하는 방식을 택했다.

 혈액에 비해 대단히 적은 양으로 존재하는 타액 속 CRP를 35분 이내 수십 pg/㎖ 수준까지 성공적으로 검출했다.

 일반 의료기관에서 혈청 광학장비를 이용해 하는 표준검사법인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검사 수치와 비교해, ±5% 이내의 오차 범위를 갖고 있어 신뢰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검사 방식도 간단해 칩 위 검출부 발색 변화를 통해 현장에서 바로 CRP 분석 결과 확인이 가능하게 했다. 검출부 색이 변색하는 것을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후 무료 소프트웨어를 통해 정확한 검사 수치를 알 수 있다.

 한도경 박사는 "이번 연구는 혈액은 물론 타액에 존재하는 미량의 급성염증 반응물질을 분석할 수 있는 고감도 진단 플랫폼 기술로, 최대한 빨리 신체의 건강 상태나 중증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며 "이 기술이 조기 상용화될 수 있도록 관련 기업들과 적극적으로 협력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분석화학 분야 최상위 학술지인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지에 지난 달 10일 지면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두경부암 초기 발생에 관여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확인"
두경부암 초기 발생에 관여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국내 의료진이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두경부암은 얼굴, 코, 목, 입안, 후두, 인두 등에 발생하는 암을 통칭한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박영민 교수팀은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두경부센터 남제현 박사 등과 공동 연구팀을 꾸려 두경부암 발생 전 단계를 실제와 같이 구현한 '3차원 오가노이드(Organoid) 모델'을 개발하고, 두경부암 초기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3차원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를 이용해 체외에서 작은 장기(臟器)와 같이 배양한 세포 구조물로, 우리 몸의 장기가 수행하는 기능과 구조를 비슷하게 만든 입체 조직이다. 두경부암은 주로 인두 등 두경부 내 점막에 있는 편평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평상피세포에서 시작된 암은 주변 조직에 공격적으로 침습해 림프절 전이를 일으키고 표준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다. 이에 연구팀은 편평상피세포에서 시작되는 두경부암의 조기 발생 과정을 파악하는 데 집중했다. 우선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 환자 72명의 종양 샘플을 추출·분석한 결과 'MLL3' 유전자 돌연변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