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국내 의료진 개발 로봇 심장스텐트 시술 첫 성공"

 서울아산병원은 국내 의료진이 개발한 로봇으로 협심증 환자를 심장 스텐트 시술로 치료하는데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병원 심장내과 이승환·김태오 교수팀은 협심증을 앓고 있던 지모(50) 씨를 로봇을 이용한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로 치료했다. 지 씨는 합병증 없이 시술 후 하루만에 퇴원했다.

 시술에 사용된 로봇은 서울아산병원 의공학연구소 최재순·심장내과 김영학 교수팀이 개발한 관상동맥중재술 보조로봇 '에이비아(AVIAR)'로, 지난 2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승인을 받았다.

 서울아산병원은 "이번 시술이 의료 로봇을 미국, 독일, 프랑스 등 외국산에 의존하던 상황에서 국내 의료진이 개발한 국산 관상동맥중재술 1호 로봇을 이용한 시술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관상동맥에서 나타나는 병변이 환자마다 다르고 복잡해 숙련된 의료진의 술기가 중요하다. 시술 중 엑스레이 투시 영상을 통해 스텐트의 위치를 확인하는데, 이 과정에서 의료진이 방사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위험이 크다.

 의사는 조이스틱 같은 핸들로 에이비아를 조정한다.

 시술 중에는 보조로봇이 인공지능 기반으로 시술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표시해 상황 판단을 돕고 이상 징후가 있는지 보여준다.

 이승환 교수는 "관상동맥중재술 보조로봇을 이용하면 보다 정교하게 시술할 수 있어 관상동맥 병변이 복잡하거나 어려운 고위험 환자분들도 더 안전하게 치료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아산병원은 ㈜엘엔로보틱스를 통해 에이비아의 상용화와 미국, 유럽 등 해외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