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인이 찾는 한식 'K-김치'…한류열풍과 건강트렌드 한 몫

한류 열풍·채식 선호 등에 외국서 인기…스낵·타코 등 응용으로 거부감도 줄어
외국인들 한식하면 떠오르는 메뉴 '김치'…한인 소비서 현지인으로 무게추 이동
외국서 11월22일 김치의날 제정 확산…"해외서 김치 소비 늘고 수출도 증가"

 우리 민족의 밥상에 오랫동안 오른 김치가 이제 세계인이 찾는 음식으로 떠오르게 된 데는 한류 열풍과 채식 등 건강 트렌드가 한몫했다.

 한국 영화와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등에서 김치를 먹는 장면이 자주 노출되면서 이를 경험하려는 외국인이 늘어난 데다 전 세계적으로 채식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김치가 '헬시푸드'(건강식)로 주목받게 된 것이다.

 문정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21일 김치 인기에 대해 "K-콘텐츠 영향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돌이나 배우가 먹는 음식을 한번 먹어봐야겠다는 생각을 갖게 한 문화적인 측면도 있고 김치가 '헬시푸드', '지속가능 음식'이라는 인식이 세계적으로 확산한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창현 세계김치연구소 문화진흥연구단장은 "예전에는 해외에서 김치를 이민자 식품으로 바라봤고 마늘 냄새나 빨간 색감을 꺼리기도 했으나 요즘에는 세대 자체도 변화했고 김치를 먹는 문화 자체를 즐기는 현상이 확산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식진흥원이 지난해 9∼10월 16개국 18개 도시 현지인 9천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선 '한식' 하면 떠오르는 메뉴로 김치가 38.3%를 차지해 1위를 기록했다.

 또 한식 취식 경험자 대상 조사에서 가장 좋아하는 한식 메뉴로 한국식 치킨(16.2%)에 이어 김치(12.5%)가 2위에 올랐다.

 국내 기업들의 물류망 구축과 현지화도 김치의 세계화를 이끈 요인 중 하나다.

 대상의 김치 브랜드 '종가'는 현재 미주와 유럽 등 60여개국에 진출해 있다.

 대상 관계자는 "아시아권에선 수출 물량 80% 이상을 현지인이 소비하는 등 인기가 점차 뜨거워지고 있다"며 "미주와 유럽 등 서구권에서도 김치를 찾는 현지인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대상은 지난해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 김치공장을 완공하고 일반 김치뿐 아니라 현지 식문화와 트렌드를 반영한 백김치, 비트 김치, 양배추김치 등을 생산하고 있다.

 올해는 '서울' 김치 등을 판매하는 아시안 식품 전문회사 럭키푸즈를 인수해 김치 생산기지를 추가로 확보했고 유럽 시장을 겨냥해 내년에는 폴란드에 김치 공장을 준공한다.

 올해 1∼10월 김치 수출액은 지난해 동기보다 10.1% 증가한 1억3천59만달러로 집계됐다. 연말까지 기존 증가세가 이어지면 올해 수출액은 2021년에 기록한 최대치(1억5천992만달러)를 경신할 수도 있다.

 올해 1∼10월 김치 수출량은 3만7천110t(톤)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7.2% 늘었고 역시 기존 증가세가 지속되면 2021년 기록을 무난히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김치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며 각국에서는 '김치의 날' 제정 움직임도 이어지고 있다.

 김치의 날은 김치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지난 2020년 제정된 법정기념일로, 김치 재료 11가지가 모여 22가지 이상의 건강 기능성 효능을 낸다는 의미를 담아 매년 11월 22일로 정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현재까지 미국, 브라질, 영국 등 3개국의 일부 지역과 아르헨티나에서 11월 22일을 김치의 날로 제정했다.

 미국에서는 2021년 8월 캘리포니아주에 이어 버지니아주, 뉴욕주 등에서도 김치의 날을 제정했다.

 브라질에서는 상파울루시가 지난 6월 김치의 날을 제정했고, 영국 킹스턴왕립구는 유럽 최초로 지난 7월 김치의 날을 정했다.

 김춘진 aT 사장은 "각국 김치의 날 제정안에는 한국이 김치 종주국이며 유네스코가 김장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며 "세계인들이 김치를 함께 즐기길 바라며, 우리도 세계인의 기호와 입맛에 맞는 김치 수출을 늘려 K푸드의 가치를 높이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경숙 한식진흥원 이사장은 각국의 김치의 날 제정 움직임과 관련, "김치가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영국 등 세계인이 함께 즐기는 음식이 됐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앞으로 한국 김치의 인기는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창현 단장은 "전체적으로 해외에서 김치를 찾는 소비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며 "예전에는 한인이나 유학생이 주로 찾았다면 이제는 메이저 유통 채널에도 많이 입점했다"고 설명했다.

 문정훈 교수는 "국내 시장에서 김치 섭취량이 줄어들고 있는 만큼 제조사 입장에서는 해외 시장을 적극 개척해야 할 것"이라며 "영화나 유튜브에 노출됐을 때 더 좋은 효과가 있을 것 같다"고 제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모기 물린 줄 알았는데"…빨라진 '말라리아' 주의보
지난 18일 전국에 '말라리아 주의보'가 발령됐습니다. 지난해보다 한 주 더 빠른 건데요. 최고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져 모기의 활동이 빨라졌기 때문입니다. 특히 6∼8월은 국내에서 말라리아 감염이 가장 많은 시기여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죠. 말라리아는 모기에게 물려 감염되는 질환 중 하나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5종류가 있는데, 국내에서는 주로 '삼일열 말라리아'에 감염됩니다. 모기에게 물린 뒤 짧게는 7일, 길게는 2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일단 감염되면 오한, 발열, 발한 증상이 48시간마다 반복되고, 열이 39도 이상으로 오르면서 심한 두통과 구토가 동반될 수 있죠. 김종희 질병관리청 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장은 "초기 증상은 거의 감기와 유사해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면서 "그러나 두통이 발생할 수 있고 나중에 발열, 오한 이런 것들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면 말라리아를 의심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국내 주요 말라리아 발생 지역은 서울, 인천, 경기, 강원 등입니다. 최근에는 아프리카 등 말라리아 위험 지역 방문이 늘면서 해외에서 감염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죠. 말라리아 발생 지역의 주민, 방문자 등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규칙적으로 걸으면 재발성 요통 예방기간 2배로 길어져"
허리통증을 앓은 적이 있는 성인이 규칙적으로 걷기 운동을 하면 요통이 재발하지 않는 기간이 걷지 않는 경우(112일)보다 2배 가까이(208일) 길어진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호주 매쿼리대 척추통증연구그룹 마크 행콕 교수팀은 24일 의학 저널 랜싯(Lancet)에서 요통 병력이 있는 성인 700여 명을 대상으로 6개월간 걷기운동·교육을 하고 효과를 최장 3년간 추적하는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행콕 교수는 "걷기는 지리적 위치, 나이, 사회경제적 지위와 관계없이 누구나 저비용으로 할 수 있는 간단한 운동"이라며 "허리통증 재발 방지는 물론 심혈관 건강, 골밀도, 체중 관리 정신건강 개선 등 효과로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요통은 장애와 삶의 질 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8억명이 겪고 있다며 특히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경우도 흔해 요통에서 회복된 사람 10명 중 7명은 1년 이내에 재발을 경험한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현재 요통 관리·예방법으로는 운동과 교육을 병행할 것을 권장하고 있지만 일부 형태의 운동은 높은 비용과 복잡성, 감독 필요성 때문에 많은 사람이 접근하기 어렵거나 부담스럽다고 지적했다.

메디칼산업

더보기
신약 개발·연구 속속 손잡는 제약업계 …"같이 합시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신약 개발 등을 위한 협업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신약 개발 비용 등 부담이 갈수록 커지는 상황에서 각자 확보한 기술 등 장점을 최대한 결합해 개발 비용과 시간은 줄이고 실패 부담도 덜자는 취지에서다.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기업 온코크로스와 AI 기반 신약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계약을 최근 체결했다. JW중외제약은 온코크로스의 AI 신약 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항암 및 재생 의학 분야 신약의 신규 타깃 질환을 탐색할 계획이다. 동아쏘시오홀딩스의 원료의약품 계열사 에스티팜은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와 신규 항체-약물 접합체(ADC)에 사용되는 '링커' 제조 공정을 공동 연구하고 이를 위탁생산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ADC는 항체와 약물이 링커라는 연결물질을 통해 화학적으로 결합한 형태의 항암제다. 계약에 따라 에스티팜은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의 ADC 플랫폼에 필요한 링커 일부분에 대한 위탁개발생산(CDMO)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독은 신약 개발 기업 제넥신 및 유전자 교정 기업 툴젠과 차세대 선천 면역 세포치료제를 공동 개발하는 계약을 맺었다. 세 회사는 앞으로 선천 면역 세포 치료제 후보 물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