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 병변, 즉시 제거해야"

 자궁경부에 병변이 발견되면 그대로 두면서 적극적으로 감시하는 것보다는 즉시 제거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궁경부 병변은 상피내 종양(CIN)으로 자궁경부의 내막 세포에 비정상 변화가 나타난 것을 말한다. CIN은 1~3등급으로 분류되며 등급이 올라갈수록 암으로의 진행 위험은 높아진다.

 CIN은 암은 아니지만 방치하면 비정상 세포가 암세포로 바뀔 수 있다. CIN 2등급은 비정상 세포 제거 여부를 결정하는 경계선이다. CIN 2등급은 50~60%가 2년 이내에 저절로 회복된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자궁경부 병변 즉시 절제는 과잉 치료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특히 CIN 2등급을 절제하면 나중 임신했을 경우 조산 위험이 커질 수 있다.

 그러나 덴마크 오르후스(Aarhus) 대학 의대 임상의학과의 산부인과 전문의 안네 함메르 박사 연구팀이 1998~2020년 사이에 자궁경부 병변이 발견된 2만7천524명을 대상으로 20년간 진행한 추적 연구 결과 '즉시 절제'가 훨씬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이 중 1만2천483명(45%)은 '적극 감시'를 택하고 1만5천41명(55%)은 즉시 병변 발생 부위를 원추 절제(large loop excision) 했다.

 '적극 감시'는 병변이 발견된 후 2년 동안 주기적인 검사를 통해 비정상 세포가 더 확산하지 않는지 감시하는 것이다.

 첫 2년 동안 자궁경부암 발생률은 '적극 감시' 그룹이 0.56%, '즉시 절제' 그룹이 0.37%로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그 후부터 '적극 감시' 그룹의 경우 자궁경부암 진단율이 증가하기 시작해 20년 후에는 2.65%로 급증했다. 이는 '즉시 절제' 그룹의 0.76%보다 4배 가까이 높은 것이다. 이러한 위험은 30세 이상 여성에게서 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적극 감시' 그룹 여성의 경우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인유두종 바이러스(HPV)가 비정상 세포 속에 잠복해 있다가 나이와 함께 면역력이 약해지면서 활성화됐기 때문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 의학 저널(BMJ)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혈당측정기 온라인 가격 강제…아이센스 과징금 2억5천600만원
온라인 재판매 업체들이 자사의 혈당측정기를 특정 가격 이하로 싸게 팔지 못하도록 '갑질'한 의료기기업체가 억대 과징금을 물게 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아이센스에 과징금 2억5천600만원을 부과하기로 했다고 최근 밝혔다.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한 위법 행위 방지 교육 실시 명령도 했다. 아이센스는 2019∼2024년 자가혈당측정기 세트의 온라인 권장 판매가격을 준수하지 않은 온라인 재판매 업체에 불이익을 준 혐의를 받는다. 국내 상장사 기준으로 2020년 이후 60%가 넘는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 아이센스는 오프라인 유통점의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가격을 강제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이센스는 2019년 혈액을 묻힐 수 있게 제조된 용기인 '스트립'을 저가로 판매하는 업체를 자체 적발해 공급가 10% 인상·공급 수량 제한·신규 영업활동 제한 등 불이익 조치를 부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이후에는 온라인총판 계약을 체결한 대한의료기와 함께 온라인 판매 가격을 점검한 뒤, 20개 업체를 '블랙리스트'로 관리하면서 공급 중단을 실행하기도 했다. 이는 거래 가격을 정해 그 가격대로 판매할 것을 강제하는 '재판매 가격 유지 행위'에 해당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