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 유전자 조작해 말라리아 퇴치" 아프리카 과학자의 도전

"불임으로 만든 수컷모기 풀어주면 모기 수 감소→ 말라리아 확산 차단"

 말라리아가 최대 사망원인 중 하나인 아프리카에서 모기의 유전자를 조작해 말라리아를 퇴치하는 기술이 실전 투입을 앞두고 있어 향후 성과 여부가 주목된다.

 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서아프리카 부르키나파소 건강과학연구소 곤충·기생충 연구를 이끄는 압둘라예 디아바테는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모기 유전자 조작 기술을 개발 중이다.

 이 기술은 유전자를 조작해 불임 상태로 만든 수컷 모기를 자연에 풀어줘 암컷 모기가 이 수컷 모기와 교미해도 자손을 생산할 수 없도록 고안됐다.

 그 결과 결국 모기 수가 줄어들고 말라리아 확산도 멈추게 된다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말라리아는 인구 2천200만여명인 부르키나파소의 최대 사망원인 중 하나로 2021년 기준 1만9천명의 사망자를 낳았다.

 말라리아로 인한 전 세계 사망자는 2021년 61만9천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며, 이 중 약 96%가 아프리카 출신일 정도로 말라리아는 아프리카 대륙의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앞서 WHO는 지난 4월 말라리아 대처와 관련해 살충제 처리된 모기장이 효과를 내기도 했지만, 모기장 관련 비용이 상승하고 모기들의 살충제 내성이 높아졌다고 지적했다.

 그 결과 2015년 이후로 말라리아 (사망)사례가 증가, 관련 사망자 수가 "용납할 수 없을 정도로 여전히 많다"고 평가했다.

 디아바테도 CNN에 "모기장이 정말 환상적인 성과를 내고 있지만, 이제 다양한 모기 종들, 특히 말라리아를 옮기는 여러 종에서 살충제에 대한 내성이 널리 퍼져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런 전통적인 도구로는 말라리아를 퇴치하기 어려워졌다. 혁신해서 기존 도구들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를 갖는 것이 극히 중요해진 이유다. 그렇지 않으면 말라리아를 퇴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우려했다.

 이에 따라 모기 유전자 조작 기술이 실제로 상용화되면 '게임 체인저'가 될 것으로 디아바테는 기대하고 있다.

 그는 "(유전자 조작된) 모기를 현장에 풀어놓으면 그들이 전체 모기 집단으로 확산해 말라리아 전파를 차단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별도의 인위적 조치 없이도 사람과 멀리 떨어져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까지 저절로 퍼져나갈 수 있어 지속 가능하고 예산이 적게 드는 말라리아 통제 방식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2019년 유전자 조작 모기를 실제로 풀어주는 시험을 시작했으며, 실제 기술을 적용하기까지는 몇 년이 더 걸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유전자 조작 모기를 자연에 풀어놨을 때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문도 여전하다고 CNN은 전했다.

 말라위의 국립 말라리아 통제 프로그램 책임자인 룸바니 문탈리는 모기 유전자 조작 기술에 대해 "알맞은 시점에 나오는 좋은 혁신"이라면서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알려지지 않았다면서 이는 연구자들이 살펴봐야 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빅5'병원 중환자 비율 50% 이상…일반병상 최대 15% 감축
정부가 '빅5' 병원 등 상급종합병원에 대한 '대수술'에 나섰다. 큰 틀에서 상급종합병원이 중증환자에 집중하고, 동네 병원은 경증환자에 집중하도록 한다. '빅5 쏠림'을 더는 방치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상급종합병원의 일반병상은 최대 15% 줄이고, 중환자 비율을 50% 이상으로 늘린다. 대신 중증수술 수가를 대폭 올리고, 당직 수가를 신설하는 등 중증환자 치료에 성과를 올리수록 보상을 더 많이 받도록 한다. 의료사고에 따른 환자와의 갈등을 줄이고자 병원 내 의료사고 예방 책임을 병원장이 맡는다. '환자 대변인'이 신설돼 의료사고 피해자를 돕는다. ◇ '동네의원과의 경쟁' 탈피…상급종합병원 구조 바꾼다 정부는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차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를 열고 오는 9월부터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시범사업을 시행하기로 했다. 정부는 상급종합병원이 처치 난도가 높고 생명이 위중한 환자를 전문적으로 진료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노연홍 의개특위 위원장은 브리핑에서 "적어도 (상급종합병원의) 중증환자 비율을 50% 이상으로, 가능하면 많이 늘려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현장과 많은 논의를 통해 구체적인 수치가 잡힐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에 따르면 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화장품 리필(소분) 판매 더 쉬워진다…식약처 "규정 개선 추진"
화장품 소분(리필) 판매를 더 쉽게 하기 위한 규정 개선이 추진된다. 중소기업 옴부즈만은 12일 부산 소재 화장품 중소기업인 상떼화장품에서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부산지역본부와 중소기업 간담회인 '에스오에스 토크'(S.O.S. Talk)를 열어 이런 제도 개선 내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상떼화장품은 중기 옴부즈만에 화장품 소분 판매 관련 제도 개선을 요청했다. 현행법상 화장품 소분 행위는 원칙적으로 '제조'에 해당하고 화장품을 소분 판매하는 매장도 '조제관리사'가 상주하게 돼 있다.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플라스틱 등 포장재의 과잉 생산과 이용을 줄이기 위해 다회용기 활용과 소분 판매를 권장하고 있지만 국내에선 단순하게 소분 판매하는 행위까지 제조로 규정하다 보니 화장품 소분 매장 운영이 쉽지 않다는 게 업계의 호소다. 이에 중기 옴부즈만은 간담회에 앞서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의했고 식약처는 최근 리필만을 전문으로 하는 맞춤형 화장품 판매장에서 적절히 교육을 이수한 직원이 샴푸, 린스, 보디 클렌저, 액체비누 등 4가지 화장품을 소분할 수 있도록 한 규제샌드박스(실증특례)가 마무리됨에 따라 해당 결과를 검토해 관련 규정 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간담회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