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유행 정점인데 예방접종률은 전년 수준…"접종 권고"

호흡기 감염병 관계부처 합동 대책반 가동…"손씻기·기침 예절 지켜야"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최근 5년 중 가장 심하지만 백신 예방접종률은 전년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12월 2주차(12월 3∼9일·올해 49주차) 외래환자 1천 명당 인플루엔자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 수(인플루엔자 의사환자 천분율)는 61.3명으로, 2019년 이후 5년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최근 4주간 환자가 1.6배 늘었다.

 급성 호흡기 감염증 입원환자 감시(병원급, 218곳) 결과, 65세 이상 비중이 40.3%를 차지했고, 중증 급성 호흡기 감염증 입원환자 감시(상급종합병원급, 42곳) 결과에서도 같은 연령대의 비중이 47.4%로 가장 컸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환자는 11월 마지막 주 이후 감소 추세고, 백일해 환자 수는 11월 3주 이후 정체 중이긴 하나 대체로 12세 이하 어린이나 학령기 아동에서 발생(마이코플라스마 75.2%, 백일해 76.9%)해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달 15일 기준 2023∼2024절기 전체 연령의 접종률은 76.2%로, 직전 절기(76.1%)와 비슷하다.

 어린이의 경우 이번 절기 접종률(67.5%)은 한 해 전보다 0.8%포인트 낮다.

 정부는 전날 오후 질병청과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교육부 등 정부 부처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호흡기 감염병 관계부처 합동 대책반 제1차 회의를 열고 지자체와 협력을 강화해 적극적으로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권고하기로 했다.

 참석자들은 회의에서 약품 수급, 항생제 사용범위, 교육 현장 점검 등에 관한 현황과 계획을 공유했다.

 회의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예방 접종 외에 손 씻기, 기침 예절 등 개인위생 수칙을 지키고, 증상이 있으면 마스크를 쓸 것을 권고했다.

 정부는 국가 항생제 내성정보 감시체계(KARMS)에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을 추가해 내성을 감시하기로 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협조해 국내 의료기관의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치료제(항생제) 사용량도 들여다볼 계획이다.

 정부는 또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환자에 대해 안전한 범위 안에서 항생제 사용범위를 늘리고자 이달 20일 관련 고시를 개정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