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장애 환자, 당뇨병·고지혈증 발병률 높아"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환자는 1형, 2형 당뇨병과 고지혈증 등 심장 대사 질환 발병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심장 대사 질환이란 심혈관 질환을 비롯해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인슐린 저항성, 고혈당,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내장 비만, 비알코올성 지방간 등의 대사 이상 질환을 가리킨다.

 미국 텍사스 공대 보건과학 센터 외과 전문의 차투리카 다나세카라 교수 연구팀이 ASD 환자 총 27만6천173명, ASD가 없는 대조군 773만3천306명이 대상이 된 총 34편의 관련 논문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ASD 환자는 일반인보다 2형 당뇨병 발병률이 2.47배, 1형 당뇨병 발병률이 6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고혈압과 뇌졸중 발생률도 일반인보다 각각 22%, 19% 높았다.

 전체적인 결과는 ASD 환자가 심장 대사 질환 위험이 일반인보다 상당히 높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으로, 임상의들은 자폐 장애 환자에게서 심장 대사 질환 징후가 나타나는지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당뇨병은 1형과 2형 당뇨병이 있다. 당뇨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2형 당뇨병은 인슐린 생산이 부족하거나 세포가 인슐린을 활용하는 기능이 떨어져 발생한다.

 1형 당뇨병은 이와는 달리 면역체계가 인슐린을 만드는 췌장의 베타 세포를 공격, 인슐린이 아주 적게 혹은 거의 생산되지 않아 발생하는 일종의 자가 면역 질환이다.

 1형 당뇨병 환자는 평생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한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학 협회 저널-소아과학(JAMA-Pediatrics)' 온라인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조현병 치료제 '할로페리돌', 성장기 뇌 신경 발달 억제"
조현병 치료제인 '할로페리돌'이 성장기 청소년의 뇌 신경 발달을 억제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가독성과학연구소는 김기석 박사 연구팀이 인간 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뇌 오가노이드(유사 장기)를 활용해 할로페리돌의 독성을 평가한 결과, 오가노이드의 크기가 감소하고 신경 발달이 저해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기존 항정신병제 부작용 연구는 성인 환자를 중심으로 운동장애, 대사 이상, 심혈관계 영향 등 단기적인 이상 반응을 중심으로 이뤄져 왔다. 약물이 태아와 청소년기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팀은 뇌 오가노이드에 할로페리돌을 노출하는 실험을 통해 할로페리돌이 세포의 분열·분화 등을 결정짓는 세포 간 신호 전달 경로인 '나치1'(Notch1) 신호를 억제함으로써 정상적인 신경 발달을 방해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할로페리돌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할로페리돌을 꾸준히 투여한 실험군 비교 결과, 약물의 농도와 시간의 격차가 커질수록 뇌 오가노이드의 성장 속도가 유의미하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할로페리돌을 1μM(마이크로몰·100만분의 1몰) 농도로 장기 투여한 49일 차에 독성이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