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폐 결절 존재 가능성과 위치 표시"

색깔로 병변 가능성 도식화…의료진 진단에 활용

  "인공지능(AI)이 폐 결절이 존재할 가능성과 위치를 표시해줍니다"

 지난 26일 찾은 '국제 AI 의료제품 규제 심포지엄'(AIRIS 2024) 행사장. 의료 AI 기업 루닛  관계자는 흉부 엑스레이 AI 영상분석 설루션 '루닛 인사이트 CXR'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루닛 관계자가 공개한 흉부 엑스레이 화면에는 특정 영역에 초록색과 노란색의 동그란 표시가 돼 있었다.

 폐 결절 등 10개 병변의 존재 가능성을 수치에 따라 색깔로 나타낸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폐 결절은 폐에 생기는 혹 중에서 3㎝보다 크기가 작은 것을 말하는데, 3㎝보다 크면 종양이라고 부른다.

 색깔로 표시된 부분 위에는 폐 결절 가능성이 숫자 0∼99로 도출됐다.

 루닛 관계자는 엑스레이 화면에 대해 "폐 결절이 곧 암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폐암이 의심될 경우, 추가 검사 대상이 될 수 있는 환자"라고 설명했다. 

 AI 분석 결과는 병원 의료영상저장 전송시스템(PACS)에 전송돼 의료진이 엑스레이 원본 영상과 비교하고, 최종 판독문을 작성하는 데 활용한다고 루닛 관계자는 덧붙였다.

 한국로슈진단은 디지털 스캐너, 분석 소프트웨어 등 디지털 병리 시스템을 선보였다.

 한국로슈진단 부스에 있던 컴퓨터 옆에는 커다란 장치가 놓여 있었다.

 염색된 조직 유리 슬라이드를 고해상도 디지털 이미지로 생성하는 장비 '벤타나 DP 600'이었다. 기존 검체 분석 방식은 유리 슬라이드에 조직을 붙여 염색한 후, 현미경을 통해 사람이 직접 보며 특정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의 단백질 발현 여부나 유전자 증폭 여부를 판독했다.

 벤타나 DP 600은 총 240개의 슬라이드를 장착해 염색된 환자의 조직 검체를 디지털 이미지로 빠르고 선명하게 생성할 수 있다고 한국로슈진단은 설명했다.

 해당 장비로 검체를 스캔하자 컴퓨터 화면에는 유전자가 염색된 부분이 빨간 점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AI 분석 소프트웨어 '유패스'를 적용했더니 빨간 점 주위로 더 많은 점이 생겼다.

 해당 점들을 영역별로 분류한 표시도 생성됐다.

 해당 과정은 분석 알고리즘이 20개 종양 세포를 선택해 세포 내 유전자 표시자 신호를 빠르게 계산하는 것으로, 의료진은 알고리즘이 선택한 20개 세포의 적합 여부를 검토해 질병을 판단하고 치료법을 결정한다고 한국로슈진단 관계자는 설명했다.

 이 외에도 삼성메디슨과 삼성전자 의료기기사업부가 함께하는 삼성헬스케어는 응급 진료 시 많이 발생하는 흉부 소견 5가지를 자동으로 감지해 의료진의 진단을 돕는 '온 디바이스 캐드'를 선보였다.

 삼성 측 관계자는 "응급실이나 중환자실에서 의료진이 영상을 보고 검출된 질환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치료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며 "영상은 병원 서버로도 전송돼 다른 의료진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메드트로닉은 이식형 심장 리듬 모니터로부터 수집한 심장 박동 데이터에 AI 알고리즘을 접목해 오경보를 줄이는 사례를 소개했다.

 메드트로닉은 해당 알고리즘을 통해 궁극적으로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 데이터의 정확성을 개선하고, 의료진이 치료에 집중하도록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1971년 초유의 '인술(仁術)파동'…"유신에도 협상은 있었다"
정부와 의료계가 의사 증원을 둘러싸고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대치를 이어가고 있다. 양측 모두 국민을 최우선시한다고 말하지만, 갈수록 커지는 국민의 피로감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제는 서로가 현 사태에 어떤 명분을 들이대도 국민의 신뢰에서 멀어져 간다고밖에 볼 수 없는 지경이다. 왜 이렇게 타협이 이뤄지지 않는 것일까. 과거 사례를 통해 의료계와 정부의 뿌리 깊은 갈등을 조명해볼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 임상수련 과정 중인 인턴과 레지던트들이 대규모로 파업한 첫 사례는 지금으로부터 53년 전인 197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한국에 미국식 전공의 수련 제도가 처음 도입된 게 1958년이니, 불과 13년 만에 전공의들이 파업이라는 초강수를 뒀던 셈이다. 더욱이 당시는 박정희 정권의 위세가 '서슬 퍼런' 시기였다. 학술지 '역사문제연구'에 지난해 발표된 논문(1971년 수련의 파업: 1960~1970년대 의료 인력에 대한 국가통제 강화와 의사사회의 반발)을 보면, 전국 수련의들의 동맹 파업은 당시로서는 초유의 사태였다. 저자인 전북대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정준호 전임연구원은 이 당시 수련의들이 의사인 동시에 피교육자라는 모호한 위치에서 장시간 노동과 불합리한

메디칼산업

더보기
"재생 치료에 쓰이는 고순도 줄기세포 대량 배양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재생 치료 등에 쓰이는 임상 등급의 고순도 줄기세포를 대량으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줄기세포융합연구센터 손미영 박사팀이 세계 최초로 인간 장(腸) 오르가노이드에서 장 줄기세포를 농축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오르가노이드는 줄기세포나 조직공학 기술을 활용해 제작한 인체 장기유사체로, 동물 대체 실험이나 신약 개발, 재생 치료 등에서 활발하게 활용된다. 신체를 구성하는 세포로 분화하는 능력이 있는 줄기세포는 재생, 인공장기, 세포 치료 등에 이용된다. 하지만 생체 내에서 한정된 양으로만 존재할 뿐 아니라 배양이 어렵다. 연구팀은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이용해 만든 3차원 장 오르가노이드에서 고순도의 인간 장 줄기세포 집합체를 대량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단일 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해 장 줄기세포 집합체들이 고농축된 것을 확인, 이를 분리·배양하는데 성공했다. 생산된 장 줄기세포 집합체가 마우스 동물모델의 손상된 장 상피 세포 조직을 재생시키는 것을 확인, 치료제로서 이용 가능성을 높였다. 연구팀은 세포를 공기 중에 노출해 분화를 유도하는 '기체-액체 계면(Air-Liquid In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