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에 진심인 요즘, '숏폼'서 의료 분야 성공 잠재력 충분"

'메디컬 코리아' 콘퍼런스…SNS서 헬스케어 콘텐츠 홍보 방안 논의

 "소셜미디어(SNS)에서 '숏폼'(짧은 영상) 콘텐츠는 대세를 넘어 표준으로 자리 잡았어요. 의료 콘텐츠는 여기서 성공할 잠재력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14일 열린 '메디컬 코리아' 콘퍼런스에서는 온라인에서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헬스케어 콘텐츠를 홍보하는 방안을 두고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왔다.

 강지은 전 대홍기획 크리에이티브 본부 제작본부장은 이날 '의료 분야 마케팅 시에도 꼭 필요한 숏폼 트렌드 따라잡기'를 주제로 한 강연에서 이같이 밝혔다.

 강 전 본부장은 숏폼 콘텐츠 분야에서 헬스케어나 의료 분야가 성공할 수 있다고 보는 이유로 이용자들의 질문이 많을 수밖에 없고 생소한 업종이며 전문영역에서 오는 임팩트가 크다는 점 등을 꼽았다.

 강 전 본부장은 "재미있어야만 한다는 강박증을 버리고, 윗선의 피드백은 가급적 반영하지 않는다면 의료기관에서 만드는 숏폼도 차별화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충북 충주시청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전국적으로 유명해진 김선태 주무관은 '홍보 실무자를 위한 실질적인 콘텐츠 기획 전략'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고객 중심의 콘텐츠'를 강조했다.

 그는 "대다수 중앙부처나 기업들이 만드는 콘텐츠의 타깃은 이용자가 아닌 직장 상사"라며 "조회수를 올리려 만든 영상이 아닌 탓에 정보량은 많고, 재미는 떨어진다"고 분석했다.

 이어 "우리가 보여주고 싶은 콘텐츠가 아니라 사람들이 보고 싶어 하는 콘텐츠를 만들어야 한다"며 "동시에 계속해서 일관성 있게 제작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정다정 메타코리아 인스타그램 홍보 총괄 상무는 "일상의 순간을 많은 이와 공유하려고 하는 게 최근 '릴스'의 트렌드"라며 "즐거움, 이해하기 쉬움, 공감 등 세 가지 요소가 들어있다"고 말했다.

 릴스는 인스타그램에 구축된 숏폼 서비스로, 메타 내에서도 가장 성장 속도가 빠른 플랫폼으로 꼽힌다.

 그는 "콘텐츠가 완벽하지 않아도 좋다"며 "의료계 종사자들의 일상생활 등이 담긴 '나만의 것'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규정을 준수하면서 관련 정보가 담긴 콘텐츠를 꾸준히 만들어간다면 언젠가 브랜드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보건복지부가 '모두의 헬스케어: 장벽 없는 세상을 향한 새로운 탐색'을 주제로 개최한 이번 콘퍼런스는 15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진행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개혁]"대형병원, 전공의 의존 낮추고 중증환자 중심으로 바꿔야"①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이 대거 병원을 떠난 후 좀처럼 돌아오지 않으면서 국내 의료체계의 '민낯'이 드러나고 있다. 전문의가 되고자 수련하는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의 이탈만으로 심각한 '의료대란'이 벌어진 것은 그동안 전공의에 지나치게 의존해온 국내 의료체계의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전공의의 집단사직으로 인한 의료대란이 역설적으로 상급종합병원의 제 기능을 일깨우고 있다. 상급종합병원들은 전공의 이탈로 어쩔 수 없이 경증환자를 돌려보내고 중증환자에 집중하고 있는데, 이야말로 상급종합병원의 '정상'적인 모습이라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전공의에게 대한 과도한 의존도를 줄이고, 상급종합병원을 중증·응급환자 중심으로 개편하는 등 국내 의료체계의 '정상화'를 이뤄야 한다고 강조한다. ◇ 의료대란 부른 '전공의 과의존'…정부 "병원 구조 바로잡겠다" 10일 의료계에 따르면 그동안 대학병원 등 주요 상급종합병원은 교수나 전문의보다 '값싼' 노동력인 전공의를 대거 투입하며 비용 절감을 꾀해왔다. 2021년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결과에서 전공의는 상급종합병원 전체 의사 인력의 37.8%를 차지했다. 이른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간질·치매 치료법 완성…집에서 '뇌 건강' 관리할 날 올 것"
한국인 여성 최초의 미국 스탠퍼드대 종신교수로 주목을 받고 있는 뇌과학자 이진형 교수가 14일 국내 행사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집에서 뇌질환을 치료하는 날이 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 교수는 이날 보건복지부 주최의 '메디컬 코리아' 기조연설에서 "간질과 치매에 관한 설루션(치료법)은 이미 완성했고, 파킨슨병 원인을 밝혀내 치료법을 만들어 나가고 있는 상태"라며 "앞으로 아이폰에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 쓰듯 (환자들이) 다양한 뇌 질환과 그에 대한 치료법이 담긴 앱을 내려받아 쓸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1970년대만 해도 1만명 가운데 1명꼴인 자폐 질환이 지금은 36명 가운데 1명꼴로 급증했다"며 "치료제 한 개를 개발하는 데 1조원을 투입하는 등 많은 투자를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엄청나게 많은 실패를 했다"고 그간의 노력을 설명했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 신경학·생명공학과 교수인 그는 2019년에 미국 국립보건원(NIH)가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최고 권위의 상인 'NIH 파이어니어상'을 수상했다. 2010년에는 뇌신경과 헤모글로빈의 농도 관계를 규명한 연구 결과가 '네이처'에 게재됐고, 이후 뇌 질환 연구와 뇌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