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 처방 '근골격계 치료' 1위…첩약은 '오적산' 인기

보험·비보험 약제도 근골격계 처방 최다…한약방 감기치료에 '갈근탕' 많아

 지난해 한의원·한방병원에서 가장 인기 있는 첩약은 근골격계 치료에 쓰는 '오적산', 한약방은 '갈근탕'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 한약 소비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한약을 소비하는 한방의료기관(한방병원, 한의원, 요양병원 등) 및 한약 조제·판매기관(약국, 한약방) 3천여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한약 처방(조제)은 기관명과 보험 여부에 따라 조금씩 달랐지만, 사람들은 공통으로 근골격계통, 호흡기계통 쪽 처방을 선호했다.

 한의원과 요양병원 등도 인기 품목과 처방 분야는 같았다.

 약국과 한약방에서는 주로 호흡기계통 관련(48.3%)을 처방했고 이에 따른 처방명은 감기 치료에 주로 쓰는 '갈근탕'이었다.

 비보험 한방제제를 살펴보면, 한방병원은 근골격계통 처방이 68.4%로 가장 많았고 이에 따른 처방명은 '당귀수산'(77.6%)이 1위였다. 당귀수산은 어혈을 제거하고 부기를 빼는 한약으로 알려졌다.

 한의원과 요양병원 등에서는 근골격계통 처방이 가장 많았고 처방명은 오적산이 1위를 차지했다.

 약국과 한약방은 호흡계통(70.6%) 관련 비보험 한약 제제가 가장 많았고, 이 중에서 갈근탕(43.8%)이 주로 처방됐다.

 보험 한방제제로는 한방병원의 경우 근골격계통(66.7%), 당귀수산(72.1%)이 가장 많았다.

 한의원과 요양 병원 또한 근골격계통 질환 처방이 1위였으며 이에 따른 처방명은 오적산이 모두 1위를 차지했다.

 한방병원과 한의원에서는 선호하는 한약 제형은 탕제가 1위였다. 효과가 빠르고 한약재 가감이 편리하다는 이유를 꼽았다.

 요양 병원의 경우 환제를 더 선호했는데, 장기 보관에 유리한 점을 이유로 들었다.

 많이 소비된 한약재는 당귀, 숙지황 등이었다.

 기관들은 건강보험 급여 확대 시 우선 적용이 필요한 치료법으로 한방병원과 한의원은 첩약을,  요양병원 등은 한방제제를 꼽았다.

 한방병원 진료과목은 한방내과가 98.9%로 가장 많고 한방재활의학과(97.7%), 침구과(97.2%), 한방부인과(95.3%) 순이었다.

 한의원 대표자 중 전문의 자격을 가진 비율도 한방내과(68.6%)가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 침구과(24.8%), 한방부인과(9.6%), 한방부인과(9.6%), 한방재활의학과(5.4%) 순으로 나타났다.

 평균 한의사 수는 한방병원은 4.1명, 한의원은 1.2명으로 조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빵 먹고 혈당 160↑"…'혈당 스파이크' 오해와 진실
"식사 후 혈당이 160㎎/dL까지 올랐는데 괜찮은 걸까요?", "빵만 먹으면 혈당이 급등해요. 당뇨병일까요?".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혈당 스파이크'(혈당 변동성)가 요즘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몸에 부착한 연속혈당측정기(CGMs)를 활용해 스마트폰 앱으로 식후 혈당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 사이에서조차 혈당 스파이크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SNS), 블로그, 유튜브 등에는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들이 연속혈당측정기를 부착하고, 혈당 스파이크를 조절해 체중 감량을 시도했다는 사례들이 공유돼 있다. 하지만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당뇨병이 없는 사람이 혈당 스파이크에 지나치게 민감해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혈당 스파이크에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지나친 식이 제한이나 불안에 빠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진상만 교수는 "혈당 스파이크는 의학 용어도 아니고, 아직 정확한 기준도 없다"며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식후 일시적인 혈당 스파이크만으로 심각한 문제를 걱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