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연간 의료비 96만원 지출…10가구중 4가구 "부담된다"

건강보험공단·보건사회연구원 2021년 한국의료패널 조사결과

 2021년에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사람이 직접 부담한 1인당 연간 평균 의료비는 96만원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8일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1년 한국의료패널 기초분석보고서(Ⅱ)'를 보면, 2021년 분석대상 5천878가구의 전체 가구원 1만2천874명(만 19세 이상 1만931명, 0∼18세 1천943명) 중에서 의료서비스 이용자는 1만1천844명이다.

 주요 의료서비스별 이용자 수를 살펴보면, 응급 1천6명, 입원 1천667명, 외래 1만1천803명으로 조사됐다.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자(가구원)의 1인당 연간 평균 의료이용 건수는 17.8건이었다. 의료서비스 영역별로는 응급 1.3건, 입원 1.5건, 외래 17.6건이었다.

 성별로 살펴보면, 응급과 입원에서는 남녀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외래이용은 여자(19.3건)가 남자(15.6건)보다 3.7건 더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70대 33.5건, 80세 이상 31.4건, 60대 25.1건 순으로 60대 이상에서 의료이용 건수가 많았다.

 2021년에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사람의 1인당 연간 평균 본인부담 의료비는 96만원이었다. 전체 의료비 가운데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한 급여비를 제외한 금액이다.

 성별로는 남성 84만7천원, 여성 106만원으로 여성의 본인부담금 수준이 높았다.

 의료서비스 영역별로 들여다보면, 응급 11만1천원, 입원 202만6천원, 외래 72만2천 원이었다.

 2021년 외래서비스 이용 경험자(가구원)의 1인당 연간 본인부담 의료비 평균은 의과 49만9천원, 치과 47만4천원, 한방 19만8천원 순이었다.

 특히 치과의 경우 상대적으로 외래이용 건수가 적은데도 불구하고 의료비의 본인부담금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의료서비스 1건당 평균 본인부담 의료비는 4만9천481원이었는데, 세부적으로는 응급 8만5천859원, 입원 133만2천561원, 외래 3만6천431원으로 의료서비스별로 편차가 큰 편이었다.

 2021년 외래서비스 1건당 평균 본인부담 의료비는 치과 13만6천274원, 의과 2만9천999원, 한방 1만7천113원 순으로, 치과 외래서비스 본인부담금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왔다.

 이와 관련, 연간 가구의료비 지출이 부담스럽다고 인식하는 비율은 41.5%로 10가구 중 약 4가구는 의료비 지출이 가구에 부담이 된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22.9%는 부담 수준이 보통이라고 했고, 35.6%는 부담을 주지 않는다고 답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지난 1년간 병의원 치료 또는 검사(치과 치료, 치과 검사 제외)를 받아볼 필요가 있었으나, 받지 못한 적이 한 번이라도 있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미충족 의료율)은 남자 14.1%, 여자 16.6%로 나타났다.

 이런 미충족 의료를 경험한 가장 큰 이유로는 '시간을 내기가 어려워서' 39.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 외에 비용 부담으로 인한 '경제적 이유' 19.1%, '내가 원하는 때에 문을 열지 않거나 예약이 되지 않아서' 9.6%, '거동이 불편해서 혹은 건강상의 이유로 방문이 어려워서' 8.7%, '기타' 26.7% 등이었다.

 2021년 치과 미충족 의료율은 남자 15.5%, 여자 14.1%로 나왔는데, 그 이유로는 '의료비(교통비 포함)가 부담되어서'가 44.4%로 가장 높았다.

 그다음으로는 '시간을 내기가 어려워서' 36.5%, '기타' 17.4%, '일을 못 해서 생기는 금전적 손실이 부담되어서' 6.6%, '원하는 때에 문을 열지 않거나 예약되지 않아서' 5.0% 등이었다.

 한국의료패널은 개인과 가구 단위의 의료비 지출 규모를 파악하고 의료이용 결정요인, 의료비 재원 관련 지표를 산출하고자 2008년부터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수행하고 있는 조사사업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