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에 많은 과산화수소 감지하는 조영기술 개발

기초지원연 "비침습적으로 실시간 암 진단"

 암세포에 많은 과산화수소를 감지해 절개 없이 비침습적으로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조영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홍관수·조지현 박사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주립대 세슬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양의 과산화수소에 반응해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미징 프로브(분자 화합물)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이미징 프로브는 MRI(자기공명영상)와 광학 영상기술을 결합, 특정 분자 표적과 상호작용하면 신호를 나타내는 원리로 작동한다.

 암세포에서 과발현되는 과산화수소를 통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표적할 수 있다.

 홍관수 박사는 "생체 적합성에도 문제가 없었다"며 "생체 내 실시간 암 진단 기술과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청소년 메시징 앱 사용… 자존심 향상과 우울감 완화에 긍정적 영향"
청소년의 메시징 앱 사용이 자존감 향상과 우울감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두훈 가천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서울·수도권에 거주하는 청소년 801명을 대상으로 2017년과 2018년 각각 한 차례씩 메시징 앱의 사용 빈도와 그에 따른 자존감 수준, 우울감 정도, 신경증적 성향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메시징 앱은 인터넷을 통해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의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다른 사용자와 대화할 수 있다. 일상적인 소통뿐 아니라 업무용 커뮤니테이션 도구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 분석 결과, 메시징 앱을 자주 사용하는 청소년일수록 자존감이 높았으며, 자존감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서적으로 민감한 성향(신경증적 성향)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메시징 앱 사용을 통해 자존감을 높였을 때 우울증 감소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최 교수는 "청소년 4명 중 1명이 우울감을 경험하고 있는 현실에서 메시징 앱이 청소년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부모와 교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