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받으면 빨리 늙는다…차별 경험, 생물학적 노화 촉진"

美 연구팀 "차별 경험 많을수록 분자 수준 노화 과정 빨라져"

 일상생활과 직장 등에서 발생하는 크고 작은 차별이 분자 수준의 생물학적 노화 과정을 가속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대 글로벌 공중보건대학원 아돌포 쿠에바스 교수팀은 10일 의학 저널 두뇌 행동 및 면역-건강(Brain Behavior & Immunity-Health)에서 성인 2천여 명을 대상으로 한 차별과 생물학적 노화 관계 조사에서 차별을 많이 경험할수록 생물학적 노화가 빨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쿠에바스 교수는 "이 연구는 차별을 분자 수준 변화와 연결, 노화 관련 질병·사망 차이의 잠재적 근본 원인을 밝힌 것"이라며 "차별 경험이 노화 과정을 앞당기고 질병·조기 사망률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차별과 노화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1995년부터 25~47세 미국인을 대상으로 심리, 사회적 요인, 건강에 대해 추적하는 미국 중년기 연구(MIDUS) 참가자 2천여 명의 혈액 표본과 설 문조사 데이터를 수집했다.

 설문에는 일상생활에서의 사소한 무례함 같은 일상적 차별과 경찰관으로부터 신체적 위협을 받는 것과 같은 중대 차별, 직장에서의 부당한 관행 같은 직장 내 차별 등 세 가지 형태의 차별 경험에 대한 질문이 포함됐다.

 연구팀은 이어 스트레스와 노화 과정의 생물학적 영향 평가에 사용되는 지표인 DNA 메틸화(DNA methylation)의 세 가지 척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차별 경험이 생물학적 노화 촉진과 관련이 있고, 차별을 더 많이 경험한 사람은 차별을 덜 경험한 사람보다 생물학적 노화 현상이 더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일상적 차별과 중대 차별이 생물학적 노화 촉진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장 내 차별은 노화 촉진과 관련은 있지만 그 영향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심층분석에서는 흡연과 체질량 지수(BMI) 두 요인이 차별-노화 연관성에 절반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절반은 코르티솔 증가와 수면 부족 등 다른 스트레스 반응의 영향인 것으로 추정됐다.

 쿠에바스 교수는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요인과 생물학적 노화를 연결하는 다양한 과정이 있는 것 같다"며 "이 연구는 건강한 노화를 돕고 건강 형평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모든 형태의 차별을 해결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출처 : Brain Behavior & Immunity - Health, Adolfo Cuevas, 'Multi-discrimination exposure and biological aging: Results from the midlife in the United States study', http://dx.doi.org/10.1016/j.bbih.2024.100774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푹푹 찌는 더위에 혈당 오를라…만성질환자 건강관리 '요주의'
건강한 사람도 혀를 내두를 만한 후텁지근한 날씨가 연일 이어지면서, 평소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을 앓는 만성질환자들의 건강 관리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폭염으로 인한 탈수는 혈당 수치를 높이고 혈전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적절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료계에 따르면 무더위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심장박동수를 증가시키며 혈당 수치도 높인다. 요즘처럼 푹푹 찌는 혹서기에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는 가급적 야외 활동을 삼가며 더욱더 건강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 이유다. 심혈관 질환자, 고혈압·당뇨병 등을 앓는 경우 폭염에 장시간 노출 시 온열질환이 발생할 위험은 물론이고 평소 갖고 있던 만성질환이 악화하는 경우가 많다. 이 중 당뇨병 환자는 무더위로 인해 땀으로 배출되는 수분량이 많아지면 체내 혈당 수치가 높아지면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당뇨병을 오래 앓았다면 자율신경계 기능 이상으로 체온 조절 기능이 떨어지면서 온열질환에 더 취약해지기도 한다. 심뇌혈관질환자 역시 땀 배출로 체내 수분이 감소하면 떨어진 혈압을 회복하기 위해 심박동수, 호흡수가 증가해 심장에 부담이 늘어난다. 강희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