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60%가 동아시아에 몰린 이유…가족력 영향 커"

한중일 55만명 15년 추적관찰…"부모·형제자매 가족력 땐 위암 위험 1.44배 높아 더 주의해야"

 위암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100만명 이상의 신규 환자가 발생하고, 80만명이 사망하는 질환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런 위암 환자의 60% 이상은 한국, 일본, 중국 등의 동아시아에 집중돼 있다.   모든 암을 통틀어봐도 위암만큼 동서양의 발생률 편차가 큰 암이 없을 정도다.

 그 이유를 밝히기 위해 그동안 많은 연구가 이뤄졌지만, 아직 명확하게 규명된 것은 없다.

 최근 연구에서는 이런 주장에 힘을 싣는 대규모 역학 연구 결과도 공개됐다.

 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강대희 교수가 이끄는 한·중·일 3개국 공동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위암'(Gastric Cancer) 최신호에서 동아시아인 55만508명(일본 33만303명, 중국 16만4천277명, 한국 5만5천928명)을 대상으로 15.6년을 추적 분석한 결과, 위암 가족력이 위암 발생 위험을 크게 높이는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15년이 넘는 추적 관찰 기간 중 위암 발생 건수는 2천258건, 위암 사망 건수는 5천194건이었다.

 연구팀은 전체적으로 위암 가족력을 가진 동아시아인의 위암 발병 위험이 가족력이 없는 사람에 견줘 1.44배 더 높은 것으로 추산했다. 나라별 위험도는 한국이 1.5배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일본 1.47배. 중국 1.31배였다.

 특히 위암 가족력에 따른 위암 발생 위험도는 55세 미만 연령대가 1.64배로, 55세 이상 연령대의 1.35배보다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조기에 위암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같은 조건에서 위암 발생의 성별 위험도는 남성(1.44배)과 여성(여성 1.45배)이 비슷했는데, 남성의 경우 형제 중 위암 가족력이 있을 때의 위암 발생 위험(1.94배)이 아버지가 위암인 경우(1.57배)보다 더 높았다.

 이와 달리 여성은 위암 가족력이 어머니에게 있을 때의 위암 발생 위험이 1.82배로, 아버지의 1.75배를 상회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로 볼 때 동아시아인이 가족끼리 공유하는 특유의 생활환경 요인이 위암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위암 발생 위험을 더욱 높이는 것으로 추정했다.

 예를 들어 위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습관이 아들은 형제끼리 더 공유되고, 딸은 어머니를 더 닮는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가족력이 위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연관성은 국내 연구팀이 '미국위장관학저널'(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22년)에 발표한 연구 논문에서도 확인된다.

 이대목동병원·한양대병원·강북삼성병원 공동 연구팀이 2013∼2014년 전국에서 위암 검진을 받은 40세 이상 448만3천605명을 대상으로 약 5년에 걸쳐 위암 발병 여부를 추적 분석한 이 연구 결과를 보면, 부모나 형제자매 중 위암 발병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가족력이 없는 사람보다 위암과 위 선종 위험도가 각각 1.48배, 1.44배로 더 높아지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 연구에서는 형제자매 쪽 가족력(형제자매 중 한 명 이상이 위암)이 있는 사람의 위암 발생 위험이 1.59배로, 부모 쪽 가족력(부모 중 한 명 이상이 위암)이 있는 사람의 1.40배보다 더 높았다.

 부모 쪽 가족력과 형제자매 쪽 가족력이 둘 다 있는 경우에는 위암 발생 위험은 2.26배로 치솟았다.

 연구 책임자인 강대희 교수는 "동아시아인의 위암 예방을 위해서는 가족력 유무를 자세히 살펴 검진 대상을 차별화하는 맞춤형 예방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강 교수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위암 발병률과 사망률이 감소했으나 한·중·일 3개국에서는 여전히 가장 흔한 암 중 하나"라며 "우리나라는 40대부터 2년에 한 번 위내시경 검사를 권장하지만, 부모 또는 형제자매 중 위암 가족력이 있다면 위내시경 시점을 앞당기고 검진 주기도 1년에 한 번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가 돌아온다…1년 반 만에 의료공백 해소 기대
의대 증원에 반발해 일제히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내달 1일 수련병원으로 돌아온다. 1년 반 넘게 지속된 초유의 의료 공백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전공의 수련 환경을 개선하고 병원의 과도한 전공의 의존도를 낮추는 노력은 계속될 전망이다. ◇ 의대 증원이 촉발한 '전공의 공백' 1년 반 만에 메워져 31일 의료계에 따르면 수련병원별 하반기 전공의 모집 절차가 지난달 29일까지 대부분 마무리되면서 이번에 선발된 전공의들이 9월 1일부터 수련을 개시한다. 보건복지부는 전국 수련병원별 모집 결과를 취합해 내주 초 발표할 예정이다. 정확한 복귀 규모는 아직 집계되지 않았지만, 지난해 2월 윤석열 정부의 의대 정원 2천 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사직했던 전공의들의 상당수가 복귀를 택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 '빅5' 병원의 경우 하반기 모집 지원율이 60∼80%에 달했다. 전형 과정에서 일부 탈락자가 있지만 충원율은 대체로 70% 선을 웃도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한 대형병원 관계자는 "복귀 지원을 한 사직 전공의들은 대부분 합격했고, 인턴 신규 지원자 중엔 20∼30%가량의 탈락자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세브란스병원 응급의학과 복귀를 지원한 박단 전 대한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국내 토양 미생물서 '슈퍼박테리아' 잡는 항생물질 발견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슈퍼박테리아'가 된 황색포도알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물질을 발견했다고 국립생물자원관이 30일 밝혔다. 자원관은 고려대·건국대 연구진과 공동연구를 통해 '스트렙토마이세스 카나마이세티쿠스'라는 국내에 자생하는 토양 미생물(방선균)에서 '스베타마이신 C'(Svetamycin C)라는 항생물질이 생산되는 것을 확인했다. 방선균은 주로 흙에 사는 미생물로 현존하는 항생제 60%가 방선균에서 유래했다. 스베타마이신 C는 2017년 국제 학계에 처음 보고된 펩타이드 계열 항생물질로 국내에서 발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스베타마이신 C는 페니실린계 항생제인 메티실린에 내성을 지닌 황색포도알균에 대해 '최소억제농도'가 12.5㎎/ℓ였다. 최소억제농도는 특정 항생물질이 세균의 증식을 눈에 띄게 억제할 수 있는 가장 옅은 농도로 값이 낮을수록 억제력이 강하다는 의미다. 1961년 영국에서 처음 발견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은 메티실린 외에도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대표적인 슈퍼박테리아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을 신규 항생제 개발이 시급한 병원균으로 지정했다. 황색포도알균은 피부나 코점막에서 흔히 발견되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