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큼 찾아온 무더위에 말벌 활동 왕성…소방 "수칙 준수" 당부

강원서 최근 5년간 3천308건…"검은 옷 착용·화장품 사용 자제"

 올해 여름철이 평년보다 더울 것으로 예상되면서 강원특별자치도소방본부는 벌 쏘임 사고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벌 쏘임 사고 출동 건수는 2019년 649건, 2020년 471건, 2021년 553건, 2022년 828건, 2023년 807건으로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인명피해는 7∼9월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는데, 이 기간에 출동 건수는 2천871건으로 총 2천696명의 환자가 병원으로 옮겨졌다.

 환자 증상은 어지럼 증세가 9.8%로 가장 많았으며, 호흡곤란(7%), 두통(5.7%) 순으로 뒤를 이었다.

 최근 5년간 13명이 벌 쏘임으로 인한 심정지 증세를 보여 심폐소생술(CPR) 등 응급처치를 실시하기도 했다.

 사고 발생 장소로는 총 3천308건 중 집이 1천283건(38.8%)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로는 남성이 2천396명(72.4%)으로 여성 1천61명보다 3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로는 60대가 1천23명(29.1%)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강원소방은 벌 쏘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검은색 계통의 어두운 옷은 피하고 밝은색 옷을 착용하는 게 좋다고 당부한다.

 또 화장품 등 벌을 자극할 수 있는 용품의 사용은 자제하고, 벌집 근처에서 벌과 접촉할 경우 낮은 자세로 머리를 감싸고 재빨리 20m 이상 이동해야 한다.

 박계형 119종합상황실장은 "최근 무더위로 인해 말벌 등의 활동이 왕성해지고 있다"며 "벌 쏘임 예방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사고 발생 시 즉각 119로 도움을 요청해달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인수공통감염병' 니파바이러스감염증, 1급·검역감염병 지정
사람과 동물 모두가 걸릴 수 있는 감염병인 니파바이러스감염증이 국내 제1급 감염병으로 새로 지정됐다. 질병관리청은 8일 니파바이러스감염증을 제1급 감염병으로 추가하는 내용의 고시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제1급 감염병은 생물 테러 감염병 또는 치명률이 높거나 집단 발생의 우려가 큰 감염병으로, 니파바이러스감염증은 2020년 이후 처음으로 추가된 제1급 감염병이다. 코로나19의 경우 제1급 감염병인 '신종감염병증후군'으로 관리되다 이후 급수가 내려갔다. 니파바이러스감염증 추가로 1급 감염병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등 17종에서 18종으로 늘었다. 앞서 지난해 6월 세계보건기구(WHO)는 향후 국제 공중보건 위기 상황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체 후보의 하나로 니파바이러스를 선정한 바 있다. 1998년 말레이시아의 돼지 농장에서 처음 보고된 니파바이러스감염증은 니파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인수공통감염병이다. 니파바이러스는 과일박쥐 등 감염된 동물이나 사람의 체액과 직접 접촉하거나 감염된 동물의 체액으로 오염된 식품을 먹을 경우 감염될 수 있다. 감염 초기에는 발열이나 두통, 근육통, 구토, 인후통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이후 어지러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