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축적 기술력 이용 mRNA 백신 개발"…플랫폼 개발 속도 내는 제약사들

 국내 백신 개발 기업들이 코로나19 백신 개발 과정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이용해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플랫폼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질병관리청이 최근 신·변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대비해 100∼200일 이내 백신을 개발할 수 있는 mRNA 백신 플랫폼 국산화를 중점 과제 중 하나로 언급하면서 더 탄력받는 분위기다.

 mRNA는 인체에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일종의 '설계도' 역할을 하는 유전 물질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백신은 바이러스 정보를 담은 mRNA를 우리 몸에 주입해 바이러스 단백질을 합성하게 하고 이에 따라 항체가 형성되도록 유도한다.

 GC녹십자는 전남 화순의 백신 공장에 mRNA 제품 생산 시설을 구축했다.

 이 시설은 임상시험용 제제를 생산할 수 있는 시범(파일럿) 규모로 지어졌다.

 현재로서는 임상 1∼2상을 진행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회사 관계자는 설명했다. 아울러 GC녹십자는 자체 지질 나노입자(LNP)를 확보해 이를 기반으로 인플루엔자 백신 생산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LNP는 mRNA를 나노입자로 체내에 주입하는 전달 시스템으로, mRNA 기반 약물 개발을 가능케 하는 핵심 기술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2022년 감염병혁신연합(CEPI)과 mRNA 백신 개발 협약을 체결한 뒤 1억4천만 달러(약 2천억 원) 규모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고 있다.

 회사는 이를 활용해 일본뇌염과 라싸바이러스에 대한 mRNA 백신 플랫폼을 개발 중이라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에스티팜은 mRNA 방식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STP2104'의 임상 1상을 진행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mRNA 백신을 개발해두면 향후 또 다른 팬데믹이 닥쳤을 때 새로운 적응증을 타깃으로 한 mRNA 백신을 더 빠르게 만들 수 있다"고 의미를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불치병에서 '약 끊고 건강 유지'…만성백혈병의 반전 드라마
'백혈병'이라고 하면 예나 지금이나 불치병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다. 소설이나 영화에서 봤던 비운의 백혈병 환자 스토리가 각인된 탓이 크다. 하지만 이제 이런 인식은 과거의 이야기다. 백혈병은 우리 몸에서 백혈구·적혈구·혈소판 등의 혈액세포가 만들어지는 골수(뼛속 조직)에 비정상 세포가 지나치게 많이 증식하는 질환을 말한다. 쉽게 말해 핏속에 쓸모없는 백혈구가 너무 많아져서 정상 피가 부족해지고, 면역력도 떨어지는 것이다. 백혈병은 초기에 막지 못하면 결국 암세포가 골수를 가득 채우고 말초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퍼진다. 이때 암의 악화 속도 및 세포의 기원에 따라 급성골수성백혈병(AML), 급성림프구성백혈병(ALL), 만성골수성백혈병(CML), 만성림프구성백혈병(CLL)의 네 가지로 구분한다. 이중 만성골수성백혈병의 경우 1990년대 말까지만 해도 잦은 입원 치료와 항암 주사 치료,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법 등에도 3∼5년 장기 생존율이 불과 30∼40%에 불과했다. 그러나 2001년 '글리벡(이매티닙)의 등장은 치료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글리벡은 9번 염색체와 22번 염색체의 일부가 서로 자리바꿈한 '필라델피아 염색체'라는 특정 유전자 이상을 정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