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 양육가정이 가장 바라는 지원은 '자녀돌봄'"

인구보건복지협회 설문조사…심리상담·코칭, 장학금 등 뒤이어

 쌍둥이 양육자들이 지원 기관에 가장 바라는 서비스는 장학금 지원이나 부모 교육보다는 '자녀 돌봄 지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16일까지 임신부를 포함한 쌍둥이 부모 1천275명을 대상으로 쌍둥이 임신·육아에 대한 생각과 지원 방안을 조사한 설문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협회가 구축 예정인 '쌍둥이 양육가정 지원 기관 네트워크'에 바라는 서비스를 물은 결과 응답자의 19.4%는 '쌍둥이 자녀 돌봄 지원'을 꼽았다.

 쌍둥이 양육자들의 85.6%는 쌍둥이 임신·육아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이 더 많다"고 답했다.

 긍정적이라고 답한 응답자들은 이에 대한 가장 큰 이유로 '한 번의 임신·출산으로 두 자녀 이상을 만날 수 있다는 점'(30.7%)을 들었다.

 두 번째로 많이 나온 응답은 '아이에게 하나뿐인 동갑의 형제를 만들어줄 수 있음'(24.2%)이었다.  그 외 '쌍둥이 임신·육아 지원 혜택이 많기 때문'(16.1%)이라는 답도 나왔다.

 부정적이라고 답한 이들은 그 이유로 '출산 후 육아에 대한 부담'(34.4%)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단태아에 비해 유산·사산·조산 등의 위험성이 높음'이라는 응답 비율은 22.8%였다.

 이어 '미숙아 출산 등 아이 건강에 대한 걱정'이 15.5%, '임신 기간 중 잦은 검사비 지출의 경제적 부담'이 13.4%였다.

 쌍둥이 양육자들의 94.7%는 "단태아 가정보다 쌍둥이 가정에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응답자의 26.5%가 '경제적 비용 부담'을 들었으며, 22.9%는 '육체적 피로', 16.7%는 '정신적 스트레스', 10.7%는 '경력단절'이라고 말했다.

 협회는 "다양한 기관·전문가가 상호 협력하는 '쌍둥이 양육가정 지원 네트워크'를 구축해 쌍둥이 부모와 자녀의 특수한 상황과 어려움을 이해하고, 이들을 지원해 쌍둥이 양육에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