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 81% "상반기 대학병원 신규 간호사 채용 지연 매우 심각"

대한간호대학학생협회 설문조사 결과…학생 40% "졸업유예 고려"
"간호계 취업난 일시적 현상 아냐…쏠림·적체 등 여러 문제"

 간호대학 학생 10명 중 8명은 '전공의 사태'로 경영난을 겪은 대형병원들이 올해 상반기 신규 간호사 채용을 중단한 것을 매우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 학생의 약 40%는 신규 채용 지연에 졸업을 유예하거나 졸업유예를 고민하는 것으로도 파악됐다.

 대한간호대학학생협회는 6월 26∼30일 전국 197개 간호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간호계의 위축된 취업시장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2024년 상반기 대학병원의 신규 간호사 채용 지연 문제'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1천801명)의 95.4%였다. 이 중 81.1%는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 18.6%는 '심각하다'고 밝혔다.

 '지속적인 신규 간호사 채용 인원 감소'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98.4%가 '인지하고 있다'고 답했고, '매우 심각하다' 77.0%, '심각하다' 21.6%였다.

 신규 간호사 채용 지연으로 인해 겪는 문제로는 '어학점수·면접준비 등 취업 준비 난항'이 82.5%(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학사 학위취득 유예(졸업 유예)' 39.4%, '간호 국가고시 준비에 영향' 37.7%, '전공수업 이수 계획 변동' 18.9%가 뒤를 이었다.

 신규 간호사 채용 지연의 원인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2.0%가 '대한민국 간호계의 법제 및 제도적 결합'을 꼽았다. 이들은 '간호법 부재'(84.6%·복수응답), '간호대학의 지속적인 인원 증원'(68.2%), '예비 간호사 적체'(60.4%), '지역의료환경의 개선 부족'(49.9%) 등을 지적했다.

 '대학병원의 경영난'을 신규 채용 지연의 원인으로 본 응답자는 전체의 18.5%였다.

 간호대 학생의 74.6%(복수응답)는 신규 간호사 채용 지연 문제를 해결하려면 '의료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 간호대학 추가 증원 중단'(63.1%), '의료 필수인력 적재적소 배치를 위한 방안 모색'(51%), '지역기피 현상 개선을 위한 방안 모색'(29.2%) 등의 답변도 나왔다.

 대한간호대학학생협회는 "신규 간호사 채용이 지연 혹은 취소되면서 4학년은 졸업 유예까지 고민하는 등 간호대 학생들이 극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 2월 시작된 전공의들의 병원 이탈로 대형병원들이 경영난을 겪으면서 상반기에 상급종합병원 중 신규 간호사 채용을 진행한 곳은 중앙대병원뿐이다.

 다만, 협회는 "서울대병원은 신규 간호사 채용 규모를 2018년 450명에서 2022년 250명, 2023년 50명으로 대폭 줄였고, 세브란스병원도 2018년 600여 명의 신규 간호사를 채용했지만 2023년 320명으로 규모를 절반가량으로 줄였다"며 "간호계 취업난을 일시적인 현상으로 치부해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열악한 간호사 근무 환경으로 인한 쏠림 현상과 지역 병원의 간호사 처우 문제, 예비 간호사 적체로 인한 채용 문제의 지속, 무리한 간호대 증원 등 여러 제도적 문제를 들여다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혈액·소변검사 뒤에 숨은 수십 년 관행, 정부가 칼 뺐다
병원에서 흔히 받는 피검사나 소변검사. 정확한 진단과 치료의 첫걸음인 이 검사들의 신뢰도를 위협하는 수십 년 묵은 관행에 정부가 드디어 칼을 빼 들었다. 검사를 의뢰하는 동네 병의원과 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검사센터 사이의 비정상적인 비용 정산 구조를 바로잡아, 최종적으로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의료계는 현실을 무시한 조치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해묵은 관행 개선을 둘러싼 진통이 예상된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최근 논란이 돼온 검체검사 위탁검사관리료(이하 위탁관리료)를 폐지하고, 위탁기관(병의원)과 수탁기관(검사센터)이 검사 비용을 각각 청구하는 '분리 청구' 제도를 도입하겠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이는 내년 시행을 목표로, 이르면 다음 달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상정될 예정이다. 문제의 핵심은 병의원과 검사센터 간의 고질적인 비용 정산 관행이다. 현재 건강보험은 혈액검사 등에 드는 비용(검사료)의 110%를 검사를 의뢰한 병의원에 지급한다. 병의원은 이 중 10%의 관리료를 제외한 100%를 검사를 진행한 검사센터에 보내주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수많은 검사센터가 병의원과의 계약을 위해 이 검사료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