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복 보양식' 유통업계 경쟁에서 '가정간편식' 압승…"외식물가·1인 가구 영향"

대형마트·슈퍼·편의점 모두 간편식이 인기

 올해 초복(7월 15일) 유통업계의 보양식 경쟁에서 가정간편식(HMR) 상품이 '압승'을 거뒀다.

 외식 물가 상승과 1∼2인 가구 증가 등의 영향으로 합리적인 가격으로 간편하게 집에서 보양식을 즐기려는 '홈보양족'이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6일 이마트에 따르면 지난 12∼15일 생닭 매출이 지난해 초복 같은 기간에 비해 7% 증가했다.   특히 삼계탕 HMR은 37%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롯데마트에서도 백숙용 생닭 매출이 10% 증가한 데 반해 삼계탕 HMR 매출은 40%나 뛰었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수년 전부터 간편식 매출이 꾸준히 상승했는데 올해는 생닭과 간편식 매출 증가율 격차가 두드러졌다"고 말했다.

 홈플러스의 경우 500g 이하 소량 삼계탕 간편식 매출이 284% 늘어 전체 보양식 상품 가운데 유일하게 세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GS리테일의 슈퍼마켓 채널인 GS더프레시 역시 초복 상품 매출이 26.8% 증가한 가운데 보양식 HMR 매출이 125.9% 급증해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최근 근거리 장보기 채널로 주목받는 편의점도 보양 간편식으로 호황을 누렸다.

 GS25에서는 이달 11∼15일 각종 보양식 간편식 매출이 지난해 동기보다 146.8% 급증했다.

 추어탕(887.9%↑), 갈비탕(400.2%↑), 삼계탕(126.5%↑), 곰탕(28.3%↑), 치킨(24.3%↑) 등도 매출 상위권을 차지했다.

 삼계탕을 중심으로 그동안 보기 어려웠던 추어탕, 갈비탕 등으로 보양 간편식 상품군을 확대한 게 주효했다고 GS25는 설명했다.

 CU의 경우 보양식 HMR 매출이 46.0%, 차별화 상품으로 내놓은 보양 도시락 매출이 60.5% 각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3년간 CU의 보양 간편식 매출 증가율을 보면 2021년 21.1%, 2022년 30.8%, 2023년 28.5% 등이었다. 초복 수치이긴 하지만 올해는 이를 뛰어넘는 수요를 확인한 셈이다.

 이밖에 세븐일레븐과 이마트24도 보양식 HMR 판매가 각각 30%, 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보양식 간편식이 인기를 끄는 것은 외식 대비 저렴한 가격과 편리함 때문이다.

 한국소비자원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서울 지역 삼계탕 한 그릇 평균 가격은 1만6천885원이었다. 이에 비해 보양식 HMR은 1만원대 안팎으로 40%가량 싸다.

 여기에 유통 채널별로 하나를 사면 하나를 더 주는 '원플러스원'(1+1) 등의 기획으로 다양한 구매 혜택을 제공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가격 차는 훨씬 크다.

 간편함을 추구하는 1∼2인 가구 증가에 더해 간편식의 맛과 품질이 외식에 버금갈 정도로 개선된 것도 수요 확대 요인으로 꼽힌다.

 GS25·GS더프레시를 운영하는 GS리테일 관계자는 "올해 보양식 HMR 수요가 두드러진 것은 날이 갈수록 커지는 외식 물가 부담과 1∼2인 가구 증가세 영향이 크다"며 "이러한 추세는 중복·말복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불치병에서 '약 끊고 건강 유지'…만성백혈병의 반전 드라마
'백혈병'이라고 하면 예나 지금이나 불치병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다. 소설이나 영화에서 봤던 비운의 백혈병 환자 스토리가 각인된 탓이 크다. 하지만 이제 이런 인식은 과거의 이야기다. 백혈병은 우리 몸에서 백혈구·적혈구·혈소판 등의 혈액세포가 만들어지는 골수(뼛속 조직)에 비정상 세포가 지나치게 많이 증식하는 질환을 말한다. 쉽게 말해 핏속에 쓸모없는 백혈구가 너무 많아져서 정상 피가 부족해지고, 면역력도 떨어지는 것이다. 백혈병은 초기에 막지 못하면 결국 암세포가 골수를 가득 채우고 말초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퍼진다. 이때 암의 악화 속도 및 세포의 기원에 따라 급성골수성백혈병(AML), 급성림프구성백혈병(ALL), 만성골수성백혈병(CML), 만성림프구성백혈병(CLL)의 네 가지로 구분한다. 이중 만성골수성백혈병의 경우 1990년대 말까지만 해도 잦은 입원 치료와 항암 주사 치료,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법 등에도 3∼5년 장기 생존율이 불과 30∼40%에 불과했다. 그러나 2001년 '글리벡(이매티닙)의 등장은 치료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글리벡은 9번 염색체와 22번 염색체의 일부가 서로 자리바꿈한 '필라델피아 염색체'라는 특정 유전자 이상을 정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