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전 경제활동 여성 출산의향 높아…미혼여성 취직지원 필요"

서울대 김홍석 교수 연구진 분석

 출산율을 높이려면 미혼여성에 대한 취직지원이 필요하다는 학계 주장이 나왔다.

 서울대 지역정보학전공 김홍석 교수 연구진은 6일 '2020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출산 의향과 고용상태 간 통계적 패턴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이같이 주장했다.

 총조사에 응답한 8만6천948가구 중 출산 의향이 있다고 밝힌 가구는 1만1천568가구(13.3%)다.

 결혼 전부터 경제활동을 했을수록, 결혼 이후 일·가정 양립이 잘될수록, 고용 안정성이 보장될수록 출산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 경력 단절을 겪은 여성, 결혼 전에 취직하지 못한 여성은 출산 의향이 적었다.

 경력 단절과 미취업 등은 경제력 저하로 이어져 임신과 출산, 육아의 장애 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경력 단절이 출산 의향에 주는 영향은 30대에서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20대는 미취업자나 사회초년생이 대부분이고, 40대는 출산 적령기가 지났기 때문에 나타나는 경향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는 출산장려정책을 펼 때 미혼 여성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준다"며 "출산율을 효과적으로 높이려면 30대 여성 고용을 늘리는 것이 결정적"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단순히 고용률을 높이는 데서 더 나아가 고용 안정성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오는 4∼7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리는 제28회 국제지역과학협회(RSAI) 태평양지구 학술대회에서 발표된다.

 태평양지구 차기 회장인 서울대 환경대학원 박인권 교수는 "인구가 감소하면 지역 활력이 떨어지고 혁신이 더뎌진다"며 "적절한 대응을 위해서는 어떤 상황에서 인구가 감소하는지 예측하는 게 중요한데 이번 연구가 그 예측력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연내 공공의대 설립 근거 마련…설립까지 이르면 3년"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새 정부 보건의료정책의 핵심으로 '지·필·공(지역·필수·공공의료)'을 내세우고 의료 인력 양성을 위해 올해 안에 공공의료사관학교(공공의대) 설립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22일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의료서비스의 지역 격차 해소, 필수의료 확충, 공공의료 강화에 힘쓰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정 장관은 "공공의료사관학교는 전국 단위의 공공의료기관이나 공공 분야에서 필요한 의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공공의대 개념"이라며 "법을 새롭게 제정하고 준비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구체적인 설립 시기를 언급하기는 어려우나, 올해 안에 법안 근거를 만드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내년도 예산에 공공의대 설계가 반영돼 있다"면서 "대학을 설립하고 준비하는 과정이 몇 년이 될지 말하기는 어렵지만 3∼5년 정도이고, 정책 실행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의대 졸업 후 지역에서 일정 기간 의무 복무케 하는 지역의사제 도입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의료계가 지적하는 지역의사제의 위헌 소지나 실효성 논란에 대해서는 반박했다. 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