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신약 '엑소좀 치료제' 임상 속도 낸다

국내 연구진, 과학적 새 분석법 개발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신약 후보로 꼽히는 엑소좀(exosome) 치료제를 안전하게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법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조영우·노영욱 박사 연구팀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박혜선 박사, 조미영 연구원 연구팀이 신약 임상시험 허가를 위한 엑소좀의 정확한 생체 내 분포평가 정량분석 방법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엑소좀은 세포에서 분비되는 나노 크기의 이중지질막 형태로 이뤄진 작은 소포체다.

 엑소좀 기반 치료제는 살아있는 세포에서 분비되는 세포 외 소포를 분리, 정제해 개발하는 첨단바이오의약품 중 하나로 치료제나 질병 진단 도구, 약물 전달체 개발이 활발하다.

 임상시험 허가를 위한 필수 과정인 생체 내 분포 평가 시 친유성 염료, 방사성 동위원소 등을 사용한 표지법 기반의 영상 분석을 주로 사용하고 있지만, 정확한 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엑소좀 기반 치료제 임상에 큰 과학적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고 재단 측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엑소좀의 생물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생체 내 분포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단백질이나 RNA를 이용한 분석에 집중했다.

 엑소좀에 미토콘드리아 DNA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 분석 대상으로 설정해 변형되지 않은 엑소좀을 검출하고 정량 PCR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동물 종 간 다양한 세포에서 분리된 엑소좀이 가진 미토콘드리아 양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실제 설치류 꼬리 정맥에 투여한 엑소좀 생체 내 분포 평가에서, 투여 후 모든 장기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것을 검증하고 기존 영상 분석과 정량 PCR 방법을 비교 분석해 이 시험법의 타당성을 입증했다.

 조영우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변형되지 않은 엑소좀의 생체 내 분포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어 엑소좀 기반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며 "엑소좀 치료제 임상실험 승인을 신속하게 진행하는데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세포 외 소포지'(Journal of Extracellular Vesicles)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