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류 폐사 일으키는 조류서 독소 만드는 거대 단백질 발견"

美 연구팀 "역사상 最大 단백질…독성 조류 감시·화학산업 등 활용 가능"

 대규모 어류 폐사를 일으키는 독성 황갈색 조류(Prymnesium parvum)에서 독소를 만드는 거대 단백질이 발견됐다.

 이 단백질은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단백질보다 질량이 25%나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 샌디에이고) 스크립스 해양연구소 브래들리 무어 교수팀은 9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서 조류 '프림네시움 바르붐'이 독소를 만드는 과정을 연구하던 중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큰 단백질(PKZILLA-1)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또 이 단백질을 만드는 거대 유전자와 독소가 만들어지는 화학반응도 규명했다며 이 결과가 어류 폐사를 일으키는 독성 조류를 감시와 신약 개발 등을 위한 새로운 화학물질 합성 전략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큰 단백질은 사람 근육에 있는 티틴(titin)이다. 티틴은 길이가 최대 1㎛, 질량이 3.9메가달톤(MDa)에 달해 일반 단백질보다 90배 더 크다. 단백질 질량 단위인 달톤(Da)은 산소 원자 질량의 16분의 1에 해당한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독성 황갈색 조류 프림네시움 파르붐이 대규모 물고기 폐사의 원인이 되는 프림네신 독소를 어떻게 만드는지 밝혀내기 위해 조사하던 중 거대한 단백질 'PKZILLA-1'과 'PKZILLA-2'를 발견했다. 

  프림네시움 파르붐은 민물과 바닷물에 사는 단세포 생물로, 체내에서 물고기와 다른 물 호흡 동물의 아가미를 손상하는 독소인 프림네신을 생성한다.

 분석 결과 PKZILLA-1은 질량이 4.7MDa로 기존 최대 단백질 티틴보다 25% 이상 컸으며, PKZILLA-2도 3.2MDa로 일반 단백질보다 수십 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어 프림네신 생산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기 위해 게놈 염기서열을 분석, PKZILLA-1과 PKZILLA-2를 만드는 거대 유전자를 확인했다.

 또 이들 단백질이 프림네신 독소를 만드는 데 어떻게 관여하는지 알아보는 추가 실험을 통해 효소로 작용하는 이들 단백질이 239가지의 연쇄 화학반응에 관여해 최종적으로 프림네신 독소를 만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 찾아낸 PKZILLA-1과 PKZILLA-2의 유전자 정보를 활용하면 앞으로 민물과 바닷물 속에 어류 폐사를 일으키는 독성 조류가 얼마나 있는지 감시하는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 조류가 복잡한 독소를 만들기 위해 진화시킨 생물학적 메커니즘은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화학물질 조립 전략으로 새로운 의약품과 소재를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무어 교수는 "자연이 화학적 마법사를 어떻게 진화시켰는지 이해하면 이를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데 적용할 수 있다"며 "이 연구 결과가 실험실에서 미래 의약품과 소재를 개발하는 새로운 화학적 가능성을 열어 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출처 : Science, Bradley Moore et al., 'Giant polyketide synthase enzymes in the biosynthesis of giant 1 marine polyether toxins', 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do3290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차세대 방사선의약품 개발 협력 연구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질병 진단과 치료 분야에 급성장하는 차세대 방사성의약품 개발을 위해 한국원자력의학원과 협력 연구를 한다고 6일 밝혔다.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RI신약센터는 차세대 암 치료 물질로 주목받는 악티늄-225 생산 허가를 취득해 동남권원자력의학원과 공유하고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성의약품 시장은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에 따라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최근 질병의 진단과 치료 분야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방사성의약품 연구개발을 위해 두 기관의 방사성동위원소 전문가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단기적으로 기존 방사성의약품 연구와 사업을 면밀히 평가해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 중·장기적으로 신약 개발에 드는 비용과 기간을 줄여 동남권 방사선의과학단지의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사업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이창훈 동남권원자력의학원장은 "국가RI신약센터는 국내 유일의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연구기관으로서 오랜 노하우를 갖추고 있다"며 "악티늄-225 생산 허가는 우리나라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의 전환점을 마련한 성과로 긴밀히 협력해 대한민국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