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14일)

[오늘의 증시일정](14일)
    ◇ 추가 및 변경상장
    ▲ (주)이렘[009730](유상증자 1천550만주 0원)
    ▲ (주)루켄테크놀러지스[162120](유상증자 16만6천666주 6천원)
    ▲ 올리패스(주)[244460](유상증자 474만8천983주 737원)
    ▲ 오브젠 주식회사[417860](유상증자 50만4천589주 9천909원)
    ▲ 현대무벡스(주)[319400](스톡옵션 3만3천995주 2천50원)
    ▲ 주식회사 카카오페이[377300](스톡옵션 3만9천973주 5천원, 스톡옵션 1천280주 9천734원)
    ▲ 삼일제약(주)[000520](CB전환 5만5천769주 7천531원)
    ▲ 케이지모빌리티(주)[003620](CB전환 3만9천682주 5천40원)
    ▲ (주)에이프로젠[007460](CB전환 438만2천120주 1천141원)
    ▲ 동양철관(주)[008970](CB전환 27만3천597주 731원)
    ▲ (주)아이톡시[052770](CB전환 14만2천857주 700원, CB전환 42만8천571주 700원)
    ▲ 씨제이씨지브이(주)[079160](CB전환 71주 2만1천455원, CB전환 213주 1만7천745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3일) 주요공시]
    ▲ 현대글로비스[086280], '아시아나 화물 인수' 관련 1천500억원 투자
    ▲ 루닛[328130], 2분기 199억 영업손실…볼파라 인수 등에 적자 확대
    ▲ 차바이오텍[085660] 2분기 영업손실 133억원…"신사업 비용 등 영향"
    ▲ KT알파, 2분기 영업이익 87억원…26.6% 증가
    ▲ 한미글로벌[053690], 상반기 영업이익 20% 증가…역대 최대
    ▲ SK스퀘어[402340], SK하이닉스[000660] 등 실적 개선에 흑자전환
    ▲ HMM[011200] 2분기 영업익, 작년대비 302%↑…홍해사태 따른 운임상승 덕
    ▲ 한화생명[088350] 상반기 순이익 6천673억원…작년보다 17.5% 감소
    ▲ 애닉[299910], 30억원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쏘카[403550], 2분기 영업손실 67억원…적자 전환
    ▲ 하이트진로[000080] 상반기 영업이익 1천166억원…작년 동기의 2.3배
    ▲ 오아시스, 2분기 매출·영업익 역대 최대…"온라인 사업 성과"
    ▲ 이마트[139480] 2분기 영업손실 346억원…적자 축소
    ▲ 에스피지[058610] 2분기 영업이익 35억원…작년 동기 대비 28.4%↓
    ▲ 디지털대성[068930] "관계사 호법강남대성기숙학원 주식 237억원에 취득"
    ▲ 케이뱅크 2분기 순이익 347억원…작년 동기의 2.4배
    ▲ CJ제일제당[097950] 2분기 영업이익 3천836억원…작년 동기보다 11.3%↑
    ▲ 크래프톤[259960] 호실적에 증권가 목표주가 줄상향…"한 줄기 빛"
    ▲ LS증권[078020], 한샘[009240] 목표가 내려…"이익 추정치 하향 조정"
    ▲ 더블유게임즈[192080] 2분기 영업이익 671억원…작년 동기 대비 33.4%↑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사회적 건강과 스트레스
필자는 지난 칼럼에서 스트레스 다스리기에 관해 강조한 바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그것이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추가로 더 자세히 언급하고자 한다. 대한민국은 현재 개인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건강'의 위기가 심각해 총체적 개선방안 모색이 시급하다. '나'만 있고 '우리'는 없는 사회로 가고 있어 그 과정에서 고립된 개인의 스트레스가 심화하고 있다. OECD 자살률 1위, 항생제 남용 1위, 낮은 행복지수 등 한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은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적 건강까지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과거 경제 제일주의에 근거해 초경쟁적으로 살아온 결과, 미세먼지, 화학물질 오남용(ex-가습기 살균제 사건), 분노조절장애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발생해 개인의 삶의 질을 저하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SNS의 과도한 사용은 이러한 문제점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다. 많은 정신분석학자는 SNS에서 사람들이 흔히 자신의 좋은 모습만 보여주는 경향이 있어 이를 접하는 사람들은 타인과 비교하며 자존감 하락과 스트레스, 우울증을 경험하기 쉽다고 경고한다. 특히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들에게 더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진다. 필자는 SNS가 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