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30일 조간)

▲ 경향신문 = '기후위기 국가 책임' 인정한 헌재, 기념비적 출발점 삼아야

소득보장보다 지속가능으로 기운 윤석열표 연금개혁

'뉴라이트·채 상병' 궤변 연발한 윤 대통령, 국민이 바보인가

미래와 현실 함께 숙고한 헌재의 기후위기 대응 결정

긍정적인 연금·의료 개혁 방향…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

▲ 서울신문 = 검사 탄핵 또 기각, 野 무차별 탄핵 정치 멈춰야

더 외면해선 안 될 기후위기, 정책 보완 서둘러야

尹 연금개혁안, 국민 설득에 여야 초당적 뒷받침을

▲ 세계일보 = 尹 "연금 지급보장 명문화"… 국민 설득과 정치권 협조가 관건

언론 감시 기능 위협하는 딥페이크 범죄, 민주주의 敵이다

'전교조 특채' 조희연 교육감직 상실, 직선제 이대로 둘 건가

▲ 아시아투데이 = 反헌법적 '친일인사 공직 방지법안' 당장 철회하라

尹대통령, 연금개혁만 성공해도 큰 업적

▲ 조선일보 = 현대차가 시작한 '주가 밸류업' 대기업 전반으로 확산하길

'이재명 방탄용' 억지 탄핵안들, 지금이라도 철회해야

'선거 보은' 조희연 교육감직 상실, 깜깜이 직선제는 이제 그만

▲ 중앙일보 = 진보 성향 헌법재판관마저 전원 기각한 검사 탄핵

대통령의 상황 인식, 민심과는 거리 멀다

▲ 한겨레 = '미래세대' 권리에 호응한 '기후소송' 헌재 판결

국민은 불안한데 '의료현장 문제없다'고만 하면 되나

'국민 눈높이'와 동떨어진 인식 드러낸 윤 대통령 회견

▲ 한국일보 = 아시아 최초 기후소송 승소… 정부 무겁게 받아들이라

응급실 아우성 커졌는데 의료 현장 문제 없다니…

국민과 동떨어진 대통령 인식 재확인한 국정브리핑

▲ 글로벌이코노믹 = 지연

▲ 대한경제 = 저소득층 근로소득 7.5% 감소…SOC투자가 필요한 이유다

연금·의료개혁 강조한 尹 기자회견, 후반기엔 더 열린 국정운영을

▲ 디지털타임스 = 의협의 정치세력화 시도… 의사 진정성 해치는 악수 아닌가

4대 개혁 재확인 尹, 소통·설득 리더십 없으면 공염불이다

▲ 매일경제 = 이재명 수사검사 탄핵 기각…민주당은 '탄핵정치' 중단을

의대 증원 타협없다는 尹, 혼돈의 의료현장도 꼼꼼히 챙겨야

尹 "연금 보험료 세대별 차등화"… 힘들지만 가야할 길이다

▲ 브릿지경제 = '멈춤 없는' 4+1 개혁, 이대로 할 수 있겠나

▲ 서울경제 = 딥페이크 범죄 근절 위해 법제도 정비하고 처벌 강화해야

"지역화폐 발행 국고 지원 의무화" 巨野의 끝없는 포퓰리즘

국민 신뢰 회복하고 설득 리더십으로 연금·노동 개혁 추진하라

▲ 이데일리 = 긴축 다짐에도 국가채무 눈덩이… 건전 재정 믿을 수 있나

의료개혁 후퇴 없다는 尹… 여권 엇박자 더 이상은 안 돼

▲ 이투데이 = '4+1 개혁' 원한다면 더 소통하고 경청해야

▲ 전자신문 = 정부·사회 '딥페이크' 발본색원해야

▲ 파이낸셜뉴스 = 개혁 의지 재천명한 尹, 미래 위해 野도 협조하길

산업 지탱하는 외국 우수인력 입국 길 넓혀야

▲ 한국경제 = 후반기 윤석열 정부 성패, 구조개혁으로 판가름 난다

巨野의 '친일 행위자 공직 금지' … 공산독재 사상 검증과 뭐가 다른가

▲ 경북신문 = 이철우, APEC 정상회의 숙박 시설 직접 챙긴다

▲ 경북일보 = 영풍 석포제련소 대표 구속…기업 윤리 바꿔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알츠하이머, 혈액 속 지질과 관련 입증…치료법 개발 도움"
경북대는 수의학과 진희경·의학과 배재성 교수팀이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인 후각 장애와 뇌실확장이 혈액 인자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5일 밝혔다. S1P는 혈액 속 지질로, 고밀도지단백(HDL)과 결합한 형태로 뇌로 이동해 신경세포 생성과 뇌 구조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 경북대 연구팀은 혈중 S1P 수치를 인위적으로 낮춘 생쥐 모델에서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처럼 후각 반응이 둔해지고,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관찰했다. 같은 결과가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 혈액 분석에서 확인됐다. 환자들의 S1P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낮았고, 수치가 낮을수록 후각 인식 능력이 떨어지고 뇌실 크기는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S1P를 포함한 혈장을 생쥐 모델에 정맥 주사하면 신경줄기세포 수가 회복하고 후각 행동이 개선됐고, 뇌실 확장도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이 S1P 감소 때문이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진 교수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가 향후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