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6일 조간)

▲ 경향신문 = '탄소중립' 정의로운 전환에 석탄발전 노동자는 왜 빠졌나

인사 늑장에 예산 삭감, 권력 수사하는 공수처 압박 아닌가

응급실은 저리 숨넘어가는데, 국민 속 뒤집는 당국자들

기시다 방한, 과거사 문제·미래지향적 관계 다 진전 있길

'자동조정장치' 등 국민연금 쟁점 슬기롭게 타협해야

▲ 서울신문 = '후보 매수' 곽노현, 교육감 출마 가당치 않다

의협, 여론 악화 노려 추석 의료대란 군불 때나

정부 연금개혁안 손사래 치는 野, 대안은 뭔가

▲ 세계일보 = 정부에 사과 요구한 野, 연금개혁 합의안 도출 의지 있나

北 7차 핵실험 우려, 韓·美 모든 가능성 열고 대책 강구해야

2분기 GDP 18개월 만에 역성장, 내수 살리기 총력전 펴야

▲ 아시아투데이 = 금투세 폐지, 증시 도움 주려면 빠를수록 좋다

국회 연금특위 즉각 구성해 연금개혁 논의해야

▲ 조선일보 = 신속 재판 모범 보여주는 판사들

연금 개혁 기회에 정년 연장 논의도 시작하길

교육감 선거 폐지 당위성 보여준 징역형 곽노현 출마

▲ 중앙일보 = 딥페이크 고통 지옥인데 정책 노력은 한가하기만

'응급실 뺑뺑이' 아우성인데 안이한 대응으로 풀리겠나

▲ 한겨레 = 반쪽짜리 '김건희 수심위', 온 국민이 지켜본다

군 정신교육에까지 '뉴라이트 사관', 이게 될 말인가

냉온탕식 정부 대출정책, 대혼란엔 은행에 책임 전가

▲ 한국일보 = 이복현 입에 갈팡질팡 주택대출, 실수요자만 피해

윤-기시다 고별회담, 브로맨스 과시로 끝나선 안 된다

'응급실 괜찮다' 정부 보고에 여당서도 책임론 불거져

▲ 글로벌이코노믹 = 지연

▲ 대한경제 = 기본계획 고시에 9년 걸린 제주 제2공항, 속도 내야

건설투자 중요성 일깨우는 2분기 뒷걸음 성장

▲ 디지털타임스 = 1년 6개월 만에 역성장… 장밋빛 전망 접고 내수부터 살려라

尹 부정평가 취임 후 최고… 국정 운영 바꾸라는 엄중 경고다

▲ 매일경제 = 민주당 "정부 연금개혁안 꼼수·졸속" … 반대를 위한 반대 아닌가

美 M7 10년간 11% 줄때 韓은 두배…주식수 줄여야 '밸류업'

오죽하면 여당 원내대표가 막말 금지법'까지 제안하겠나

▲ 브릿지경제 = 정치권은 '열린 귀'로 산업계 목소리 들었나

▲ 서울경제 = 한미 "한반도 완전 비핵화"…美대선 노린 북핵 도발 봉쇄해야

오락가락 대출 규제로 시장 혼선, 언제까지 '은행 탓'만 할 건가

노동계 "65세까지 정년 연장해야"…낡은 임금체계 개편이 먼저다

▲ 이데일리 = 되살아난 'R의 공포', 금리 인하 망설일 이유 없다

국회로 넘어간 연금 개혁의 공… 협치로 속히 결론내야

▲ 이투데이 = '70대 고용 시대' 맞은 日, 우리도 준비해야

▲ 전자신문 = 흔들리는 인텔과 美 반도체 공급망

▲ 파이낸셜뉴스 = 대안도 없이 의대 증원 전면 재검토 요구한 李대표

더 뜨거워진 글로벌 AI 경쟁, 민관 힘 합쳐 맞서야

▲ 한국경제 = 엔비디아도 대주주로 끌어들인 日 AI 유니콘

세계 1위 中 CATL 회장의 '배터리 공멸론'이 시사하는 것

재정 부담이 아니라면 뭣 때문에 연금개혁을 해야 하나

▲ 경북신문 = 의료계 집단행동… 브레이크 없는 자동차?

▲ 경북일보 = 소멸위기 경북, 기업 유치로 청년 잡아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한국머크 헬스케어, 분당차병원과 국내 난임치료 발전 공동 연구
한국머크 헬스케어와 차의과대학 분당차병원은 국내 난임 치료 발전을 위한 공동 연구협약(MOU)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양사는 지난 6일 이번 협약을 통해 2027년 7월까지 2년간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 치료 프로토콜 최적화를 위한 난임 치료 결과 예측 모델 개발 ▲ 환자 대상의 웹 데이터베이스 개발 ▲ 국제 학술지 공동 출판 및 국제 학회 공동 발표 등 과학적 협력과 학술 교류 확대 등을 함께 수행하기로 했다. 양 기관은 연구 데이터 교차 검증 및 분석을 위한 운영 체계를 마련하고,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승인 등 윤리기준과 관련 법규에 따른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절차를 준수하며 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윤상욱 분당차병원장은 "이번 협약은 국내 난임 치료의 질 향상과 환자 맞춤형 연구 생태계 조성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오랜 시간 난임 치료제의 연구와 개발을 이어오고 있는 한국머크와의 협력을 통해 정밀의료 실현을 가속화하고, 환자 중심의 치료 환경을 선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크리스토프 하만 한국머크 헬스케어 대표는 "생명과학 분야의 오랜 연구 노하우를 가진 두 기관이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환자들에게 보다 정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