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 줄어도 쏠림 그대로…서울 온 지방환자 59% '빅5'로 간다

올 상반기 서울 큰 병원 찾은 지방환자 10명 중 6명은 '빅5'서 진료

 지난 2월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이후 비상진료체계가 가동되며 대부분 병원의 진료가 줄어든 상황에서도, 지방 환자들의 '빅5' 병원 쏠림현상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에 있는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등 큰 병원을 찾은 지방 환자의 60% 상당은 빅5 병원에서 진료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 있는 상급종합병원은 서울대병원·세브란스병원·서울아산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성모병원 등 '빅5' 병원을 포함해 14곳, 종합병원은 44곳이다.

 올해 상반기 서울의 상급종합병원을 찾은 지방 환자 128만9천118명 중 77.1%가 빅5 병원 진료 환자였다.

 진료 건수도 마찬가지였다.

 올 상반기 서울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서 지방 환자의 진료 건수는 530만4천653건이고, 이중 빅5 병원에서 시행된 진료가 316만8천943건으로 59.7%를 차지했다.

 진료가 몰리다보니 빅5 병원이 진료비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컸다.

 지방 환자의 올 상반기 서울 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 진료비는 2조3천870억9천400만원이었는데, 이 중 1조5천602억7천500만원이 빅5 병원에서 나왔다. 65.4% 상당이다.

 김 의원은 "큰 병에 걸려도 최고 수준과 실력을 갖춘 지역거점병원에서 안심하고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지역의료를 획기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며 "모든 국민이 어디서나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지역완결형 의료체계'를 구축하고 특히 지역 간 의료격차 해소를 통해 빅5 병원 쏠림 현상을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표] 2024년 상반기 요양기관(서울) 관외진료현황

 

구분 2024년 상반기 관외진료현황
진료실인원(명)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서울) 1,678,067
BIG5 994,401
상급종합병원(서울) 1,289,118
종합병원(서울) 436,450
진료건수(건)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서울) 5,304,653
BIG5 3,168,943
상급종합병원(서울) 4,078,101
종합병원(서울) 1,226,552
진료비(천원)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서울) 2,387,093,788
BIG5 1,560,275,486
상급종합병원(서울) 1,981,928,801
종합병원(서울) 405,164,987

 

※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김미애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민참여의료혁신위 11월 출범…"수요자 참여로 필수의료 강화"
의료 서비스 수요자인 국민들의 참여로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국민 참여 의료혁신위원회'가 오는 11월께 출범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국무총리 직속으로 혁신위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혁신위는 민간위원을 포함한 30인 이내의 본위원회와 전문가 중심의 전문위원회, 의료혁신추진단 등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본위원회의 민간위원으로 환자, 소비자, 청년, 노동조합, 사용자, 언론 등 다양한 국민이 수요자로서 참여하게 하되, 보건의료 전문가 등 공급자와의 균형을 맞출 계획이다. 또 혁신위 안에 '의료 혁신 시민 패널'을 만들어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과제에 대한 권고안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국민 누구나 정책을 제안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국민 참여 플랫폼도 운영한다. 혁신위와 시민 패널의 논의 과정·결과는 온라인 중계, 속기록 공개 등을 통해 공개한다. 정부는 소아·분만 등 의료 공백, 응급실 미수용 등 여러 국민이 현재 어려움을 느끼는 과제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의 의료 개혁이 의료 인력·전달체계, 보상체계 등 공급 측면의 중장기 구조 개혁이었다면 앞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과제에 집중하려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