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까지 '폭염'…12~14일 잠시 덜 덥다가 연휴 초반 다시 더워

대기 상층 티베트고기압 우리나라 덮고 중하층에 고온다습 남동풍 유입
곳곳에 비오고 13일 북쪽서 찬 공기 유입되며 기온 하강

  수요일인 11일 '가을 폭염'이 정점을 찍은 뒤 이틀 정도 기온이 일시적으로 떨어졌다가 다시 올라 추석 연휴 초반까지 덥겠다.

 10일 기상청에 따르면 11일까지 우리나라 대기 상층에 티베트고기압이 세력을 뻗친 가운데 중국 상하이를 향해 북서진하는 제27호 열대저압부와 북태평양고기압 사이로 남동풍이 불면서 백두대간 서쪽을 중심으로 무덥겠다.

 바람은 산을 넘으면 한층 뜨거워지기에 동풍이 불면 백두대간 서쪽이 더워진다.

 10~11일 남동풍의 영향으로 제주에 호우특보가 내려질 정도로 비가 쏟아지겠다.

 동풍을 맞는 강원영동에도 비가 오겠는데, 이 비는 12일까지 이어지겠다.

 11일 충청과 남부지방을 중심으로는 최대 60㎜, 수도권과 강원은 30㎜ 내외 소나기도 올 것으로 예상된다.

 12일에는 열대저압부가 중국 내륙에서 북서진하는 가운데 북태평양고기압이 제주 쪽까지 세력을 확장하면서 고온다습한 공기가 주로 들어오는 지역이 중부지방으로 바뀌겠다.

 이에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전국에 산발적으로 비가 올 전망이다.

 10일부터 12일까지 소나기 외 강수량은 북부를 제외한 제주 30~80㎜(중산간과 산지 최대 120㎜ 이상), 수도권·충남북부·충북북부 20~60㎜, 강원영서 10~60㎜, 제주북부·대전·세종·충남남부·충북중부·충북남부 10~40㎜, 강원영동·호남·영남 5~40㎜일 것으로 예상된다.

 가을비치고는 제법 많은 비가 내리는 것이다.

 13일에는 북쪽에서 찬 공기가 들어와 기존 따뜻한 공기와 충돌하면서 경기북부와 강원북부에 비가 오겠다. 비구름대 폭이 좁아 남쪽에 자리한 고기압의 위상에 따라 비 내리는 구역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12~14일 비가 내리고, 북쪽에서 찬 공기가 유입되면서 늦더위 기세가 일시적으로 누그러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 최고기온도 13일과 14일엔 30도 아래에 머물 전망이다.

 그러나 15~16일 티베트고기압이 재차 세력을 확장해 한반도를 덮으면서 기온이 다시 상승하겠다.

 지상에도 현재처럼 고온다습한 남동풍이 부는 기압계가 형성될 가능성도 크다.

 15일과 16일 서울 낮 기온은 31도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추석인 17일부터 기온이 내림세를 보이며 더위가 물러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이때 기온 하강은 북쪽에서 기압골이 들어오며 찬 공기가 유입돼 나타날 것으로 분석되는데, 기압골이 어느 정도까지 남하할지 등에 대한 변동성이 크다.

 또 우리나라 남쪽 바다에서 언제든 열대요란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인데, 열대저압부나 태풍이 발생하면서 지금처럼 고온다습한 공기를 주입할 경우 기온 하강이 저지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