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관 현상 이용 중금속 감지하는 '식물 모방 소프트로봇' 개발

충남대 이창수 교수팀, 국제 학술지 논문 게재

 충남대는 응용화학공학과 이창수 교수팀이 외부 동력 없이 스스로 수질 환경을 감지하고 반응하는 '완전 자율형 식물 모방 소프트 로봇'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수질 오염 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기존 모니터링 방법은 많은 장비와 사람이 직접 샘플링하고 분석하는 방식에 의존해 지속적인 실시간 변화를 감지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 교수팀은 자연의 다공성 구조를 활용한 설계를 바탕으로 종이와 같은 저렴하고 흔한 재료를 활용한 식물 모방 소프트 로봇을 개발했다.

 모세관 현상을 이용해 물을 흡수, 구조 내에 내장된 '마이크로 플루이딕 로직'을 통해 중금속과 같은 오염을 감지하면 '꽃잎' 모양의 액추에이터가 반응해 시각적으로 경고한다.

 이는 기존 소프트 로봇이 외부 동력을 필요로 하고 환경 변화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로봇 설계의 한계를 넓히는 동시에 환경 보호를 위한 유망한 해결책을 제공함으로써 응용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충남대 이창수 교수 연구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셀트리온, 유럽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코이볼마' 품목 허가
셀트리온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텔라라(성분명 우스테키누맙)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코이볼마'(개발명 CT-P43)가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10일 밝혔다. 코이볼마는 셀트리온이 기존에 허가를 획득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스테키마가 보유한 판상형 건선,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CD) 등 적응증에 궤양성 대장염(UC)을 추가해 승인을 획득했다. 이로써 셀트리온은 총 2종의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를 확보했다. 스테키마는 지난해 11월과 올해 3월 각각 유럽과 미국에 출시된 신규 바이오시밀러 치료제다. 유럽에서는 주요 5개국(독일, 스페인,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을 비롯해 네덜란드 등에 출시됐다. 셀트리온은 서로 다른 적응증을 보유한 두 제품을 전략적으로 활용해 유럽 각국의 복잡한 특허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함으로써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설 방침이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인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작년 우스테키누맙 글로벌 시장 규모는 약 216억6천60만 달러(약 30조3천248억원)로 추산된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앞서 출시한 스테키마가 유럽을 비롯한 글로벌 우스테키누맙 시장에서 이미 긍정적인 성장 흐름을 보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