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10일부터 목요일 성인 응급실 주간진료 재개

 의료진의 잇단 사직으로 주 1회 성인 응급실을 축소 운영해온 아주대병원이 해당 날짜의 주간 진료를 재개하기로 했다.

 8일 아주대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은 오는 10일부터 매주 목요일 주간(오전 7시∼오후 3시) 성인 응급실 진료를 재개한다.

 이 병원 응급실은 지난달 5일부터 매주 목요일 주간과 야간에 해당하는 24시간(당일 오전 7시∼이튿날 오전 7시) 동안 16세 이상 성인 환자의 경우 심폐소생술(CPR)을 필요로 하는 등의 초중증 환자만 받았다.

 병원 측이 한 달여 만에 목요일 성인 응급실의 주간 진료를 재개하기로 결정하면서 오는 10일부터 제한 진료는 같은 요일 야간(오후 3시∼이튿날 오전 7시까지)에만 이뤄진다.

 소아응급실의 경우 수요일과 토요일엔 초중증 환자만 받는 종전의 방식을 유지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아주대병원 관계자는 "성인 응급실 내 의료진 인력과 관련한 변화가 있는 건 아니다"라며 "의료진이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진료 시간을 더 늘려 제한 진료 시간대를 24시간에서 16시간으로 줄이기로 했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AI·로봇 활용한 고령자 맞춤형 서비스…'에이지 테크'가 뜬다
한국에 앞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일본이 로봇·정보통신기술(ICT) 기술 등을 활용한 '에이지 테크'(Age-tech)를 신산업으로 키우고 있어 한국 역시 이 분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나왔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초고령사회 일본의 에이지 테크(Age-tech)' 보고서를 펴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고령화가 진전되며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최근 돌봄·간병 수요가 급증하면서 돌봄 인력 부족 문제가 대두하고 있다. 이 같은 인력 부족 문제의 대응책 중 하나로 에이지 테크 도입이 주목받으며 일본 정부 역시 관련 기술 보급과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에이지 테크는 고령자와 돌봄 종사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로봇 등 디지털 기술을 결합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령 친화 기술을 총칭한다. 기존 단순 돌봄 기술을 넘어 쇼핑, 금융, 상속, 커뮤니티 활성화 등 고령자를 위한 모든 기술·제품·서비스로 확장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고령자가 요양시설로 이동하지 않고 기존 집과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주거·스마트홈 서비스, 영양 관리 지원 서비스, 운동·디지털 헬스케어 서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