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5일 조간)

▲ 경향신문 = 윤·한 독대 의제 된 '김건희 라인', 국민 눈높이로 쇄신하라

연세대 논술 문제 유출·오류, 입시 한 치 오점 없어야

바지락 무덤 된 펄펄 끓는 바다, 지구 향한 마지막 경고

내년이면 초고령 사회, 정년 연장 진지하게 검토해야

▲ 서울신문 = 무인기 적반하장 北, 손해 날 일 자초 말기를

핵 재처리 족쇄 풀어 잠재적 능력 확보해야

수위 높인 韓 '김 여사' 해법, 듣기 불편하더라도

▲ 세계일보 = 논술 문제 유출·실기 시험 자료 늦게 배부, 대학들 왜 이러나

'기업 총수 국감 출석' 연계 농어촌기금 압박은 갑질 아닌가

노벨문학상 이끈 '번역의 힘', 국가 차원의 지원 늘려야

▲ 아시아투데이 = 민주당, 안보만큼은 軍·정부에 힘 실어줘야

'핵연료 재처리' 권한 美 설득해 확보하길

▲ 조선일보 = 美 주식 산 국민 710만명, 투자액 10배 폭증, 韓 증시는 어디로

'스페이스X'의 충격적 진보를 보며 우리 미래를 생각한다

대통령실 '金 여사 라인' 논란, 제2부속실 약속 지켜야

▲ 중앙일보 = 김 여사 문제 정리 못하면 정권 미래는 어둡다

간신히 피한 헌재 마비 사태 … 재판관 선출 서둘러야

▲ 한겨레 = 무인기 사태 '재발 방지' 약속 통해 긴장 풀어야

'김건희 비선 라인' 논란, 실체 밝히고 책임 물어야

노벨문학상 시대, 정부와 지자체의 출판·도서관 죽이기

▲ 한국일보 = 헌재 '마비'는 피했지만… 재판관 일부라도 선출하라

주미대사가 공식화한 '잠재 핵능력', 국제 우려 불식이 관건

연세대 논술 사전 배부… "공정성 훼손 없다" 어떻게 단정하나

▲ 글로벌이코노믹 = 통화 완화, 실물경제 파급효과는

양곡 정책의 핵심은 데이터 농업

▲ 대한경제 = '명망'고려해 사후평가 결과 '쉬쉬'하는 조달청

금리인하 효과, 경제계 전반 확산시킬 폴리시믹스 중요하다

▲ 디지털타임스 = "비선 조직 없다" 대통령실 해명, 金여사 의혹 불식에 미흡하다

후유증 큰 고려아연 M&A戰, 국가핵심기술 지정 빨리 결론내라

▲ 매일경제 = 이번엔 중부권 동서횡단철도…원칙 허물어진 예타면제

美로 주식이민 710만명, 韓 증시 추락에 속수무책

"포용적 제도가 국가 성공 이끈다"는 노벨경제학상의 메시지

▲ 브릿지경제 = '회수율' 낮은 것도 금융사고 증가 원인이다

▲ 서울경제 = "K반도체, 몰락한 도시바·인텔 전철 밟지 말라" 경고 새겨라

與 지지율 바닥 벗어나려면 내홍 멈추고 낮은 자세로 쇄신해야

동북아 긴장 고조 … 국론 모으고 힘 키워야 평화 지킨다

▲ 이데일리 = 女임금근로자 1000만 시대… 남녀 임금격차 부끄럽지 않나

기금형 퇴직연금 논의, 민간 금융사 목소리도 경청하길

▲ 이투데이 = '항모' 동원 대만 압박한 中, 레드라인 넘고 있다

▲ 전자신문 = 역대 장관 조언 귀담아 듣고 실행을

▲ 파이낸셜뉴스 = "반도체는 곧 안보, 과감한 지원을" 전 장관들 제언

결혼·출산 긍정 인식 증가, 저출산 탈피에 한줄기 빛

▲ 한국경제 = 금융시장 위협하는 스테이블 코인, 실태 파악도 못 하는 정부

혁신의 힘 보여준 스페이스X … 우주로 가는 길도 '성큼'

中 반도체 韓 추월론 … 세제 혜택보다 더 절실한 전력 지원

▲ 경북신문 = 대구경북 기관들… 국감반 영접에 떠들썩

▲ 경북일보 = 하루 2.5명 사상자…농기계 안전 대책 강화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교육부 의대교육자문단, 공식 출범…"다양한 현장 의견 반영"
교육부의 의대 정책 자문기구인 의대교육자문단이 1일 출범한다. 교육부는 이날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의대교육자문단 첫 회의를 연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지난 3월 의대교육 정상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그간 파행한 의대교육 내실화를 위해 의대교육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별도 자문기구를 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자문단은 의학교육계 5명, 의과대학(원)생 5명, 의료계 3명, 법조계 1명, 언론계 1명, 정부 2명(교육부·보건복지부) 등 총 17명으로 꾸려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자문단 활동 방향과 향후 운영 계획은 물론 의대 교육혁신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이 공유된다. 교육부는 "의학교육 당사자들이 자문단에 직접 참여하게 된다"며 "소통과 협력을 통해 현장 적합성이 높은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교육부는 향후 자문단의 의견을 바탕으로 관계 부처 및 전문가와 논의해 의료 인력 양성 과정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인사말을 통해 "의대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은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라며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는 데 자문단이 중추적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밝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