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15일)

[오늘의 증시일정](15일)
    ◇ 추가 및 변경상장
    ▲ 올리패스(주)[244460](주식전환 386만814주 1천174원)
    ▲ (주)지놈앤컴퍼니[314130](주식전환 28만138주 6천425원, 주식전환 5만7천585주 6천425원)
    ▲ 주식회사 에스바이오메딕스[304360](유상증자 27만1천320주 2만5천800원)
    ▲ 디케이락(주)[105740](스톡옵션 1만2천주 6천220원)
    ▲ (주)넵튠[217270](스톡옵션 5만주 2천524원, 스톡옵션 1만4천주 4천575원)
    ▲ 주식회사 카카오페이[377300](스톡옵션 400주 5천원, 스톡옵션 1만643주 9천734원)
    ▲ (주)형지엘리트[093240](CB전환 128만9천767주 1천163원)
    ▲ 동아에스티(주)[170900](CB전환 1천2주 7만970원)
    ▲ (주)서진시스템[178320](CB전환 12만7천659주 2만3천500원)
    ▲ 에스티팜(주)[237690](CB전환 2만1천971주 7만9천648원)
    ▲ (주)아이엘사이언스[307180](CB전환 34만1천130주 3천78원)
    ▲ (주)상지건설[042940](무상감자, 무상감자, 무상감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4일) 주요공시]
    ▲ 성안머티리얼스[011300], 30억원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파인엠텍[441270] "종속회사 VINA에 153억원 출자"
    ▲ 이수페타시스[007660] "태국 법인 주식 35억원어치 취득…지분율 85%"
    ▲ 쏠리드[050890] "종속회사 쏠리드엑스 주식 170억원에 추가취득"
    ▲ 3S[060310], 47억9천만원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투비소프트[079970] "제이엘스탠다드 주식 26억원어치 취득…지분율 26%"
    ▲ 에이디엠코리아, 주당 1.0주 무상증자 결정
    ▲ 범양건영[002410], 30억원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박셀바이오[323990], 의약품 유통 기업 에스에이치팜 흡수합병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들 얼마나 돌아올까…이번주 수련협의체 논의 주목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복귀를 위한 논의도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다. 오는 7일 전공의 수련협의체 논의에 따라 하반기 모집 공고가 곧 이뤄질 예정인데, 1년 6개월 전 병원을 떠난 전공의 중 얼마나 수련 재개를 택할지 주목된다. 3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 수련환경평가위원회는 오는 5일까지 전국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하반기 인턴·레지던트 모집인원 신청을 받는다. 수련병원별 모집 신청이 이뤄지면 이르면 오는 8일, 늦어도 다음 주 초엔 병원별로 하반기 모집 공고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별개로 필수과목 레지던트 1년 차로 수련을 새로 시작하려는 이들을 위한 필기시험 원서 접수도 오는 4∼5일 이뤄진다. 16일 치러지는 필기 응시자들과 원 병원 복귀를 원하는 사직 전공의들은 이달 중순 이후 병원별로 함께 면접을 거친 후 9월 1일 수련을 시작할 예정이다. 하반기 모집 공고를 내기 전에 정부와 전공의, 수련병원들이 협의해야 하는 것들이 남아있다. 사직 전공의들이 요구하는 '수련 연속성 보장'을 위한 조치들로, 대표적인 것이 미필 전공의들을 위한 입영 특례다. 의무사관후보생인 미필 전공의들은 사직하면 자동으로 군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스마트폰으로 소형 캡슐 조정해 장내 대장균 질병 진단·치료"
스마트폰 블루투스로 조종할 수 있고 삼킬 수 있는 소형 캡슐을 이용해 장내에 있는 유전자 조작 대장균을 제어해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중국 양링 서북농립과기대 타오펑 두 교수와 톈진대 한제 왕 교수팀은 과학저널 네이처 미생물학(Nature Microbiology)에서 소형 스마트 캡슐이 내는 빛에 반응하도록 대장균(Escherichia coli) 유전자를 조작하고, 캡슐을 블루투스로 스마트폰에 연결해 돼지 장내 대장균을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스마트폰으로 조종할 수 있는 캡슐을 이용해 외부에서 돼지 장내 박테리아와 양방향으로 통신하고 박테리아를 제어하는 게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를 대장염(colitis) 같은 질병의 진단이나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위장관에는 수많은 미생물은 서식하고 건강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들 미생물을 제어할 수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연구팀은 특히 대장균 같은 박테리아는 동물 내부 특정 부위에 약물을 전달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할 수 있지만, 박테리아가 일반 동물 몸속으로 들어가면 그것들과 통신하거나 이들의 거동을 제어하기는 사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