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5일 조간)

▲ 경향신문 = 특별감찰관으로는 '김 여사 문제' 막을 수도 덮을 수도 없다

한은 전망 크게 밑돈 '3분기 0.1% 성장', 수출도 내수도 비상

'파우치 사장' 현실화한 KBS, '용산 방송' 시비 계속되나

민주당, 여야의정 대화 주도하며 수권 정당 모습 보여야

▲ 동아일보 = 닷새 걸린 한미 '北 파병' 정보 공유… 전략 온도차 해소해야

실명 지목된 '김 여사 라인' 8명… 빠른 정리가 최선이다

2분기 '역성장' 이어 3분기 성장률 0.1%… 민망해진 정부 낙관론

▲ 서울신문 = 출생률 청신호… 물 들어올 때 노 저을 대책 더 절실

특별감찰관 임명, '조건' 저울질 않고 서둘러야

부동산 금융 대책, 이렇게 오락가락 거칠어서야

▲ 세계일보 = 여야, 특별감찰관·北인권이사 흥정 말고 당장 추천하라

세계가 北 파병 인정… 러, 언제까지 "허위 정보"라 할 텐가

공수처 검사 연임 재가 지연, '수사 방해' 오해 자초할 수 있다

▲ 아시아투데이 = 韓 '집권당대표 정체성 가지라'는 말, 아프게 들어야

용산 대통령실까지 날아온 오물 풍선, 철저한 대응을

▲ 조선일보 = 결혼과 출생 반등 분위기, 희망의 불씨 살려 나가자

SK하이닉스의 예고된 도약, 기업 살길은 도전과 혁신뿐

'확실하게 살아난다'던 경제, 내수 침체 속 수출마저 감소

▲ 중앙일보 = 2~3분기 성장률 부진, '경제의 선명한 청신호' 어디로 갔나

공수처 검사 연임 재가 지연 … "수사 방해" 얘기까지 나온다

▲ 한겨레 = 특별감찰관은 '김건희 특검' 대신할 수 없다

KBS 사장 후보에 '조그만 백' 박장범, 공영방송 모욕이다

'해병대' 수사 방해하려고 공수처 인사 질질 끄나

▲ 한국일보 = 지금이 특별감찰관 놓고 '與-與 내전' 벌일 때인가

쇼크 수준 3분기 경제보다 더 무서운 정부의 낙관론

"장애인은 온라인 쇼핑하면 된다"는 정부 질타한 대법관

▲ 글로벌이코노믹 = 휴간

▲ 대한경제 = 겨우 뒷걸음질 면한 3분기 저성장 쇼크, 추가 금리인하 필요하다

준공 앞둔 7층의 목조건축물, 목조건축 활성화 계기돼야

▲ 디지털타임스 = 내수 이어 수출까지 비상… 겹겹 위기인데 정부는 어디 있나

최태원이 이끈 SK하이닉스 최대 실적… 기업가정신의 승리다

▲ 매일경제 = SK하이닉스 사상 최대 실적, 미래 내다본 혁신의 힘

전세계가 "아파트, 아파트"…한국인 일상이 매력이 되는 시대

美기업은 AGI로 질주, 韓카카오는 AI 내놓자 주가하락

▲ 브릿지경제 = 역성장만 면하고 부진한 3분기 경제 성적표를 보라

▲ 서울경제 = 수출 부진에 3분기 성장률 0.1% … 경기 진단 능력부터 갖춰라

운명 엇갈린 반도체 기업들, 기술 혁신만이 살 길이다

美 대선 누가 이기든 격화될 미중 기술전쟁·통상 압박 대비해야

▲ 이데일리 = 뚝 떨어진 성장률, 구조개혁 서두르라는 신호다

기업만 옥죄는 기형적 전기요금, 언제까지 이럴 건가

▲ 이투데이 = 경고음 커진 한국 경제…기업에 역동성을

▲ 전자신문 = 경기침체, 이대로 방치해선 안 된다

▲ 파이낸셜뉴스 = 저성장 속 SK·현대차 약진, 결국은 기술이다

매출·이익 축소하는 글로벌 빅테크 과세 강화를

▲ 한국경제 = 3분기 성장률 쇼크, 낙관론 결별하고 성장동력 재점화해야

서울 철도 지하화, 정교한 재원 설계가 관건

용산 대통령실 겨냥한 北 풍선, 마냥 손 놓을 일 아니다

▲ 경북신문 = 경북도 저출생 성과, 정책 지혜 더 모아나가야

▲ 경북일보 = 경북 저수지 90%가 재난 위험 등급이라니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푹푹 찌는 더위에 혈당 오를라…만성질환자 건강관리 '요주의'
건강한 사람도 혀를 내두를 만한 후텁지근한 날씨가 연일 이어지면서, 평소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을 앓는 만성질환자들의 건강 관리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폭염으로 인한 탈수는 혈당 수치를 높이고 혈전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적절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료계에 따르면 무더위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심장박동수를 증가시키며 혈당 수치도 높인다. 요즘처럼 푹푹 찌는 혹서기에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는 가급적 야외 활동을 삼가며 더욱더 건강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 이유다. 심혈관 질환자, 고혈압·당뇨병 등을 앓는 경우 폭염에 장시간 노출 시 온열질환이 발생할 위험은 물론이고 평소 갖고 있던 만성질환이 악화하는 경우가 많다. 이 중 당뇨병 환자는 무더위로 인해 땀으로 배출되는 수분량이 많아지면 체내 혈당 수치가 높아지면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당뇨병을 오래 앓았다면 자율신경계 기능 이상으로 체온 조절 기능이 떨어지면서 온열질환에 더 취약해지기도 한다. 심뇌혈관질환자 역시 땀 배출로 체내 수분이 감소하면 떨어진 혈압을 회복하기 위해 심박동수, 호흡수가 증가해 심장에 부담이 늘어난다. 강희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