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31일)

[오늘의 증시일정](31일)
    ◇ 신규상장
    ▲ 성우[458650]
    ▲ 유진스팩11호[488060]

    ◇ 추가 및 변경상장
    ▲ 옵트론텍 [082210](BW행사 315만5천818주 2천535원)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288330](주식전환 2천177주 5천480원)
    ▲ 미코바이오메드 [214610](유상증자 276만5천486주 1천808원)
    ▲ 비유테크놀러지 [230980](유상증자 1천456만3천106주 206원)
    ▲ 한솔로지스틱스 [009180](스톡옵션 9만8천800주 1천690원)
    ▲ 핑거 [163730](스톡옵션 5천주 8천원)
    ▲ OCI홀딩스 [010060](주식소각)
    ▲ CJ CGV [079160](CB전환 52주 2만1천455원, CB전환 16주 1만7천745원)
    ▲ 메지온 [140410](CB전환 4천419주 5만2천38원)
    ▲ 동아에스티 [170900](CB전환 70주 7만970원)
    ▲ 에이프릴바이오 [397030](CB전환 44만2천780주 1만2천828원)
    ▲ NH올원리츠 [400760](CB전환 62만7천155주 3천189원)
    ▲ 에이피알 [278470](주식분할)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30일) 주요공시]
    ▲ 두산로보틱스 "외부평가기관 추가 선정해 공정성·객관성 강화"
    ▲ 대웅제약[069620] 3분기 영업익 373억원…주력 제품 호조에 27% 증가
    ▲ 거래소, 태영건설[009410] 상장유지 결정…7개월만에 주식거래 재개
    ▲ 일동제약[249420], 3분기 영업이익 36억원…흑자 전환
    ▲ SK이노, 주당 최소 배당금 2천원 설정…2027년 ROE 10% 목표
    ▲ 파트론[091700] 3분기 영업이익 197억원…작년 동기 대비 45.7%↑
    ▲ 국민연금, 카카오[035720] 지분 보유목적 '단순투자'로 변경
    ▲ 대우건설[047040] 3분기 영업이익 623억원…작년 동기 대비 67.2%↓
    ▲ 두산에너빌리티[034020] 3분기 영업이익 1천148억원…작년 대비 63.1%↓
    ▲ 삼성물산[028260] 3분기 영업이익 7천362억원…작년 동기 대비 11.3%↓
    ▲ OCI, 3분기 영업이익 177억원…작년 동기보다 19.5% 감소
    ▲ HK이노엔[195940], 3분기 영업익 222억원…"H&B 매출 감소로 0.8% 줄어"
    ▲ 포스코홀딩스 3분기 영업이익 7천400억원…작년 대비 38.3%↓
    ▲ 한올바이오파마[009420] 3분기 영업이익 4억3천만원…작년 대비 371.6%↑
    ▲ 부산은행 3분기 영업이익 1천398억원…작년比 11%↓
    ▲ 경남은행 3분기 영업이익 950억원…작년比 0.5%↓
    ▲ BNK투자증권 3분기 영업손실 45억원…적자 확대
    ▲ BNK금융지주[138930] 3분기 영업이익 2천415억원…작년比 10.1%↓
    ▲ 포스코퓨처엠[003670] 3분기 영업이익 14억원…작년 동기 대비 96.3%↓
    ▲ SGC에너지[005090], 자회사 SGC그린파워 매각…"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 한화솔루션[009830] 3분기 영업손실 810억원…적자 전환
    ▲ 포스코인터 3분기 영업익 3천572억원…작년보다 14.6%↑
    ▲ 포스코DX, 3분기 영업익 263억원…작년동기비 18.3%↓
    ▲ 삼성SDI[006400] 3분기 영업이익 1천299억원…작년 동기 대비 72.1%↓
    ▲ 포스코DX[022100] 3분기 영업이익 263억원…작년 동기 대비 18.3%↓
    ▲ 삼성SDS 3분기 영업이익 2천528억원…작년 동기 대비 31%↑
    ▲ 키움증권[039490] 3분기 영업이익 2천680억원…작년比 1.4%↓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은경 복지장관 "수가 정비해 2030년까지 필수의료 적정 보상"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14일 "비용 분석에 기반해 2030년까지 필수의료에 대해 적정 보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수가 체계를 정비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충북대병원에서 필수의료 종사 의료진·전공의 등과 간담회를 열고 "국민 건강과 생명에 직결되는 분야에 종사하는 의료진들이 더욱 우대받는 환경, 자긍심을 갖고 환자 진료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는 고난도 수술·처치 등 저평가 필수의료에 대한 수가 인상을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 장관은 "고위험 필수의료 분야 의료진들이 최선의 진료를 할 수 있도록 의료사고에 대한 공적 배상 지원체계 구축과 형사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부터 불가항력 분만사고 보상한도를 높였고 하반기부터는 배상보험료를 지원한다"며 "필수의료 분야 의료진 법적 보호 방안에 대해서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또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며 "근무시간 단축, 다기관 협력 수련 등 시범사업을 현재 추진하고 있고 필수의료 전공의 수련수당, 지도전문의 지원 등 수련에 대한 국가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지역 간 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심장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
◇ 다양한 심장병 원인 심장병의 원인을 정확히 규명하긴 어렵지만, 심장병을 일으키기 쉬운 위험 인자는 몇 가지 꼽아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흡연, 운동 부족, 과음, 비만, 고혈압이나 고지혈증 가족력 등이 있다. 또한 심리적 요인, 가난, 교육 수준, 그리고 미세먼지를 비롯한 공해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나쁜 식습관이나 오랜 시간 텔레비전을 보는 생활 습관 등도 혈관 및 심장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 그 밖에 심장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뜻밖의 요인들도 있다. 먼저, 여성의 경우 12세 이전에 시작하는 초경이다. 1920~1930년대만 해도 여성의 초경 시기가 대략 17세 전후였는데 요즘은 그 시기가 굉장히 빨라졌다. 최근에 조사된 바에 따르면 요즘 여자아이의 평균 초경 시기가 11.5세라고 한다. 그보다 더 빠른 성조숙증 문제도 심각하다. 12세 이전에 시작하는 초경이 심혈관에 안 좋다고 했는데, 평균적으로 보면 요즘 여자아이들 대부분이 이런 위험성을 안고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리를 일찍 시작하는 여성의 경우 폐경기도 일찍 올 가능성이 높고 폐경기 이후에는 심혈관질환에 걸릴 확률이 급격히 높아지는데, 이는 여성호르몬의 보호 효과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