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인공물에 의한 CT 영상 왜곡 줄이는 기술 개발

국가수리과학연구소, 美 의학물리학자협회 챌린지서 2위

 국가수리과학연구소(이하 수리연)는 전산화단층촬영(CT)에서 금속인공물로 인해 생기는 영상 왜곡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수리연은 이 기술로 미국 의학물리학자협회(AAPM)가 주관해 지난 7월 미국 의학물리학회에서 열린 '2024 국제 CT 금속 인공물 저감 그랜드 챌린지'에서 106개 참가팀 중 2위를 차지했다.

 이 행사는 CT 촬영에서 금속인공물에 의해 왜곡된 영상을 원본영상에 가깝도록 영상을 복원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경진대회로,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 헬스케어와 렌슬리어 공과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이 주최해 열렸다.

 수리연 의료영상연구팀은 대규모 데이터 없이도 주어진 물리현상을 이용해 측정된 데이터로 네트워크를 학습할 수 있는 '함축적 신경 표현'(implicit neural representation) 방식의 인공지능 기반  인공물 저감 기술을 개발, 중국 남방의과대학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박형석 의료영상연구팀장은 "우리가 개발한 함축적 신경 표현을 활용한 기술은 많은 양의 데이터가 필요한 딥러닝 기술과 달리 학습 데이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며 "학습데이터를 획득하기 어려운 치과용 콘빔 전산화단층촬영장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