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받는 펩타이드 치료제…당뇨·비만·자가면역질환 치료에 사용

·

 SK㈜의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자회사 SK팜테코는 2억6천만 달러(약 3천500억원)를 투자해 세종시에 저분자·펩타이드 생산 공장을 신축한다.

 2026년 말 가동 시작 예정인 이 시설은 SK팜테코가 한국에서 5번째로 설립하는 공장으로, 1만2천600여㎡ 규모로 건설된다.

 이번 투자는 여러 혁신 치료제의 필수 성분인 고품질 펩타이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데 따른 것이라고 SK팜테코는 설명했다.

 이처럼 펩타이드 의약품이 주목받는 배경으로는 높은 안전성과 다양한 적응증 등이 꼽힌다.

 펩타이드로 만든 의약품은 체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화합물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면역반응이나 대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다. 합성의약품보다 부작용과 독성이 낮아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정 수용체 및 타깃과 결합해 작용하는 점도 장점이다. 높은 선택성으로 특정한 생리적 반응을 유도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당뇨병, 비만, 자가면역질환 등 여러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글루카곤 유사펩타이드-1(GLP-1)은 아미노산 30개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음식을 섭취했을 때 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고 혈당을 조절해 2형 당뇨병 환자의 치료에 활용된다.

 비만 치료에서도 GLP-1은 두각을 드러낸다. GLP-1이 식욕 억제에도 탁월한 효과를 보여서다.

 덴마크 제약회사 노보노디스크가 지난달 출시한 비만 치료제 위고비가 대표적 GLP-1 계열 치료제다.

 최근에는 펩타이드 호르몬을 면역 조절과 관련된 질환에 활용하는 것과 관련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조절T세포'(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세포) 기능을 활성화해 면역 억제를 촉진하는 펩타이드 호르몬은 자가면역질환 관련 치료에 활용될 수 있다.

 국내 제약사도 펩타이드 의약품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HK이노엔은 최근 펩타이드 면역 치료제 개발 전문 기업 노바셀테크놀로지로부터 면역질환 신약 후보 물질을 도입했다.

 도입된 신약 후보 물질은 FPR2 작용제 기전의 합성 펩타이드 물질로, 체내 과도한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FPR2'를 활성화한다.

 휴온스의 먹는 펩타이드 의약품 개발 연구는 지난 9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2024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패키지형) 과제에 선정되기도 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두경부암 초기 발생에 관여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확인"
두경부암 초기 발생에 관여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국내 의료진이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두경부암은 얼굴, 코, 목, 입안, 후두, 인두 등에 발생하는 암을 통칭한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박영민 교수팀은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두경부센터 남제현 박사 등과 공동 연구팀을 꾸려 두경부암 발생 전 단계를 실제와 같이 구현한 '3차원 오가노이드(Organoid) 모델'을 개발하고, 두경부암 초기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3차원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를 이용해 체외에서 작은 장기(臟器)와 같이 배양한 세포 구조물로, 우리 몸의 장기가 수행하는 기능과 구조를 비슷하게 만든 입체 조직이다. 두경부암은 주로 인두 등 두경부 내 점막에 있는 편평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평상피세포에서 시작된 암은 주변 조직에 공격적으로 침습해 림프절 전이를 일으키고 표준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다. 이에 연구팀은 편평상피세포에서 시작되는 두경부암의 조기 발생 과정을 파악하는 데 집중했다. 우선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 환자 72명의 종양 샘플을 추출·분석한 결과 'MLL3' 유전자 돌연변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