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적인 중독에서 벗어나기…신간 '도파민 디톡스'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은 쾌락 호르몬으로 알려졌다.

 도파민이 분비되면 기분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초콜릿을 먹을 때, 섹스할 때, 마약을 흡입할 때 도파민은 솟구친다.

 도파민이 너무 자주 분비되면 우리는 중독된다.

 음식 중독, 섹스 중독, 마약 중독의 길로 들어선다.

 가령, 초콜릿은 뇌의 기본 도파민 분비를 55% 늘리고, 섹스는 100%, 코카인은 225%, 암페타민은 1000%까지 증가시킨다.

 도파민 분비 수치가 높을수록 중독될 가능성은 그만큼 커진다.

 그러나 도파민은 중독만 초래하는 건 아니다.

 오히려 적절한 분량의 도파민은 건강을 지키는 데 필수적이다. 도파민이 부족하면 우울증과 파킨슨병에 걸린다.

 결국, 건강하게 살려면 도파민 분비량이 지나치게 많아도, 지나치게 적어도 안 된다.

 즉 적절해야 한다.

 베스트셀러 '도파민네이션'의 저자 애나 렘키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가 이 책의 후속작인 '도파민 디톡스'(흐름출판)를 내놨다.

 도파민 탐닉으로 위기에 빠진 정신 상태를 다시 건강하게 되돌려 놓는 법을 제시한 책이다.

 저자는 휴대전화, 일, 도박 등 강박적인 중독에서 헤어 나오려면 적어도 4주의 '도파민 디톡스'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도파민 디톡스는 1주 차 때 핵심 자극을 끊어내는 데 집중하고, 2주 차 때는 더 심화한 금욕을 시행하는 걸 골자로 한다.

 가령, 1주 차 때 스마트폰이나 소셜 미디어, 게임 같은 활동을 선정해 사용을 제한한 후 2주 차 때는 운동, 독서와 같은 새로운 습관을 도입하는 식이다.

 3~4주 차에는 명상하거나 일기에 자신이 겪고 있는 금단 증상과 도파민 해독 효과를 기록한 후 4주가 지난 후에는 기존에 끊었던 스마트폰 등 도파민 자극을 서서히 다시 시작하라고 조언한다. 

 다만 이전과는 다르게 절제하는 습관을 유지하는 게 키포인트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도파민 디톡스는 어떤 약물, 사람, 상황인지에 따라 강도가 달라진다. 누군가는 그럭저럭할 만한데 누군가는 수영복을 입고 에베레스트를 등반하는 것처럼 힘겨울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계획을 세우고, 한 번에 한 걸음씩 나아가야 하며, 다른 사람들의 지지가 필요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사 병원 복귀, 공보의 충원은 요원…공공의료 최일선 직격탄
의료 파업 기간 일선 시군 보건소 등에 취업했던 의사들이 병원으로 복귀하고, 공중보건의마저 충원되지 않으면서 기초단체 공공의료 최일선 현장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14일 충남 부여군에 따르면 내달부터 관내 5개 보건지소(은산면, 외산면, 홍산면, 임천면, 석성면)가 의과 진료업무를 중단한다. 보건지소 진료를 담당하는 의사와 공보의 등 의료진이 부족해 불가피하게 내린 결정이다. 부여군에는 얼마 전까지 채용형 관리의사 3명과 공보의 7명이 근무했지만, 의료 파업이 끝나면서 최근 의사 2명이 다른 병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나머지 관리의사 1명도 연말께 자리를 옮길 계획이고, 공보의 4명도 내년 4월 전역한다. 공공의료 최일선에 공보의 3명만 남게 되지만, 충원 소식은 들리지 않는다. 공주시의 사정도 비슷하다. 10개 보건지소 가운데 절반인 5개 보건지소에서 의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공주시도 관리의사를 3명 채용했지만, 의료 파업이 끝나면서 최근 2명이 병원으로 돌아갔고, 나머지 1명도 연말까지만 근무할 계획이다. 공보의 3명 중 1명이 내년 4월 전역하면 공주지역 보건소·보건지소 의과 진료 가능자는 2명으로 줄어든다. 임시방편으로 공보 한의사를 지소장으로 두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현대바이오 "페니트리움, 전임상서 류마티스 관절염에도 효과"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암 병용 치료제 '페니트리움'의 류마티스 관절염 전임상(동물실험에서의 안전성·효능 검증) 단계에서 염증 억제 효과 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14일 현대바이오는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자회사 현대ADM과 함께 페니트리움의 류마티스 관절염 전임상 중간 결과를 공동 발표했다. 페니트리움은 면역을 억제하는 방식이 아닌, 염증을 지속시키는 병리적 구조인 섬유아세포(CAF)와 세포외기질(ECM)을 제거하는 구조 기반 치료 전략을 따른다. 이 치료제는 이른바 '가짜내성'을 해결할 수 있다고 현대바이오는 주장했다. 가짜내성은 약물 자체의 문제가 아닌 ECM의 병적 경직화에 의해 약물과 면역세포의 접근이 차단되는 현상을 말한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류마티스 관절염 전임상에서 페니트리움은 단독 투여군에서 양성대조군인 면역억제 치료제(MTX) 대비 유사하거나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면역억제제와 병용할 경우 완전관해도 관찰됐다고 한다. 완전관해는 질병의 징후가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완치와는 다르다. 회사는 페니트리움 투약 9일 만에 효능이 입증됐다면서 용량을 높일수록 더 큰 치료 효과가 입증됐다고 전했다. 또 췌장암, 유방암 동물시험과 유사한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