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4일 조간)

▲ 경향신문 = 특별열차에 돈봉투, 명태균·김건희는 '하나의 게이트'다

'추풍낙엽' 주가·'천정부지' 환율, 정부 리더십이 무너졌다

비리 혐의 회장에 3연임 길 열어준 '패거리 대한체육회'

김호중 실형, 사법 방해·잘못된 팬덤 이제는 안 통한다

▲ 동아일보 = 트럼프發 '신3高' 덮치는데… 긴장감 안 보이는 정부가 더 불안

尹 골프를 "외교 준비"로 포장한 용산… 스스로 민망하지 않나

직무정지 이기흥 3선 도전 승인… '그들만의 왕국' 대한체육회

▲ 서울신문 = 국가경쟁력 뚝뚝 떨어지는데, 정쟁에 갇힌 AI·반도체법

'초강경 외교' 트럼프2기, '윈윈'할 한미 공감대 찾아야

외풍 속 '李재판', 흔들리지 않는 판결로 사법 신뢰 지키길

▲ 세계일보 = 巨野의 원전 예산 증액 통과, '탈원전' 기조 폐기 신호탄이길

"일하지 말라는 거냐" 헌재 재판관들 질타에 국회 당장 답하라

비리 수사 앞둔 회장 3선 길 터준 체육회, 전면 쇄신해야

▲ 아시아투데이 = APEC과 G20회의서 한국외교 지평 넓히길

"재판부 겁박·사법농락"… 야권서도 李 방탄 비판

▲ 조선일보 = '어른들의 축' 견제도 사라진 트럼프 2기의 한국 안보

혁신 기업가 기용해 규제 푸는 美, 국회가 규제 양산하는 韓

한국인이 中서 정보기관 촬영했다면 어떻게 됐겠나

▲ 중앙일보 = 기업인에게 '정부효율부' 맡긴 미국의 파격 발상 신선하다

"일을 하지 말라는 건가" 헌법재판관의 쓴소리

▲ 한겨레 = '트럼프 2기' 북-미 대화 대비해 대북정책 전면 수정해야

금융·실물경제 불안, 정부 '긴축재정' 고수할 때 아니다

국민의힘, '김건희 특검법' 궤변과 억지 멈추라

▲ 한국일보 = 불어나는 명태균 의혹, 수사확대 불가피하다

헌재로부터 '무책임' 질타받은 '낮잠 국회'

비위 체육회장 3연임 승인, 스포츠공정위 싹 바꿔야

▲ 글로벌이코노믹 = 고환율·고물가·고금리發 소비 부진

트럼프 2기 온실가스 감축 걸림돌

▲ 대한경제 = 사법부는 정치권 압력 굴하지 말고 신뢰 회복 계기 삼아야

'외화내빈' 경제성적… 내수활성화 법안 통과 절실하다

▲ 디지털타임스 = 머스크에 '관료주의 수술' 맡긴 트럼프… 우리는 왜 못하나

산업은행 법정자본금 증액, 先구조조정 없인 안된다

▲ 매일경제 = 청년 42만명 '그냥 쉼'…노동시장 이중구조 개혁 시급하다

혁신기업가 머스크에 정부개혁 맡긴 트럼프

이재명 선고 앞두고 尹 탄핵연대 발족한 野 의원들

▲ 브릿지경제 = 트럼프 2기 앞 기업 규제, 국회가 재정비하라

▲ 서울경제 = 트럼프 랠리 K증시만 역주행, 저평가 해소 종합처방 찾아야

사법부 겁박, 재판 지연 꼼수… '李 방탄'에 당력 총동원 너무 심하다

원전 예산 합의 나선 국회, 고준위특별법 처리도 서둘러라

▲ 이데일리 = 서민 짓밟는 불법사금융 척결… 이런 게 진짜 민생이다

공권력 나무라며 발목잡기 나선 민주당, 속셈이 뭔가

▲ 이투데이 = 1400원대 환율 앞에서 생각해야 할 것들

▲ 전자신문 = 가상자산, 규제 일변 정책 재검토 필요

▲ 파이낸셜뉴스 = 총체적 난국에 빠지는 경제, 당정 위기감이 있나

대놓고 재판 개입하는 민주당, 사법부는 무시하라

▲ 한국경제 = 美 정부 개혁 이끌 '혁신 아이콘' 머스크에 주목하는 이유

AI 시대에도 변함없는 정부의 통신비 인하 압박

민노총 불법시위 막았다고 경찰 예산 자르겠다는 민주당

▲ 경북신문 = 일본산 암컷 대게 시장 석권… 어민 생존권 위협

▲ 경북일보 = TK 행정통합, 경북 시·군민 목소리 들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교육부 의대교육자문단, 공식 출범…"다양한 현장 의견 반영"
교육부의 의대 정책 자문기구인 의대교육자문단이 1일 출범한다. 교육부는 이날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의대교육자문단 첫 회의를 연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지난 3월 의대교육 정상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그간 파행한 의대교육 내실화를 위해 의대교육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별도 자문기구를 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자문단은 의학교육계 5명, 의과대학(원)생 5명, 의료계 3명, 법조계 1명, 언론계 1명, 정부 2명(교육부·보건복지부) 등 총 17명으로 꾸려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자문단 활동 방향과 향후 운영 계획은 물론 의대 교육혁신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이 공유된다. 교육부는 "의학교육 당사자들이 자문단에 직접 참여하게 된다"며 "소통과 협력을 통해 현장 적합성이 높은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교육부는 향후 자문단의 의견을 바탕으로 관계 부처 및 전문가와 논의해 의료 인력 양성 과정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인사말을 통해 "의대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은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라며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는 데 자문단이 중추적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밝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