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유전요인 있어도 심폐건강 좋으면 치매 위험 35% 감소"

스웨덴 연구팀 "심폐건강 향상이 치매 예방 전략 될 수 있어"

 유전적 요인 등으로 치매 위험이 높은 사람도 심폐 건강(CRF)이 좋으면 장기적으로 인지 능력이 향상되고 치매 위험이 35%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스톡홀름 카롤린스카의대 웨일리 쉬 교수팀은 영국 스포츠 의학 저널(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에서 영국인 6만1천여명의 심폐 건강과 인지 기능 및 치매 위험을 12년간 추적,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최근 밝혔다.

 심폐기능은 순환계와 호흡계가 근육에 산소를 공급하는 능력으로 나이가 들면서 골격근이 손실돼 점차 감소한다.

 심폐기능은 20~30대에는 10년에 약 3~6%씩 줄지만 70대에 이르면 10년에 20% 이상으로 빠르게 감소한다.

 참가자들은 등록할 때 6분간 고정식 자전거로 심폐기능을 검사해 상·중·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신경심리 검사로 인지 기능을 측정하고 알츠하이머병 다유전성 위험 점수로 치매에 대한 유전 인자도 검사했다. 추적 관찰 기간에 치매 진단을 받은 사람은 553명(0.9%)이었다.

 분석 결과 심폐 건강 상태가 좋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인지 기능이 높고 치매 위험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폐건강 상위 그룹은 하위 그룹보다 모든 치매 발생률이 40% 낮았고, 치매 발병 시기도 1.48년 늦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알츠하이머 다유전성 위험 점수가 중간 또는 그 이상이어서 치매 위험 인자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심폐건강이 상위 그룹에 속할 경우 치매 위험이 35%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관찰 연구로 인과 관계를 규명할 수 없고 영국 바이오뱅크 참가자들이 일반 인구보다 건강한 경우가 많아 치매 발생 사례 수가 과소평가 됐을 수 있는 등 한계가 있다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이 결과는 심폐건강이 인지 능력 향상 및 치매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며 "이는 알츠하이머병 유전적 소인이 큰 사람들에게도 심폐건강을 높이는 게 치매 예방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

 ◆ 출처 :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 ,'Association of cardiorespiratory fitness with dementia risk across different levels of genetic predisposition: a large community-based longitudinal study', https://bjsm.bmj.com/lookup/doi/10.1136/bjsports-2023-108048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사 병원 복귀, 공보의 충원은 요원…공공의료 최일선 직격탄
의료 파업 기간 일선 시군 보건소 등에 취업했던 의사들이 병원으로 복귀하고, 공중보건의마저 충원되지 않으면서 기초단체 공공의료 최일선 현장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14일 충남 부여군에 따르면 내달부터 관내 5개 보건지소(은산면, 외산면, 홍산면, 임천면, 석성면)가 의과 진료업무를 중단한다. 보건지소 진료를 담당하는 의사와 공보의 등 의료진이 부족해 불가피하게 내린 결정이다. 부여군에는 얼마 전까지 채용형 관리의사 3명과 공보의 7명이 근무했지만, 의료 파업이 끝나면서 최근 의사 2명이 다른 병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나머지 관리의사 1명도 연말께 자리를 옮길 계획이고, 공보의 4명도 내년 4월 전역한다. 공공의료 최일선에 공보의 3명만 남게 되지만, 충원 소식은 들리지 않는다. 공주시의 사정도 비슷하다. 10개 보건지소 가운데 절반인 5개 보건지소에서 의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공주시도 관리의사를 3명 채용했지만, 의료 파업이 끝나면서 최근 2명이 병원으로 돌아갔고, 나머지 1명도 연말까지만 근무할 계획이다. 공보의 3명 중 1명이 내년 4월 전역하면 공주지역 보건소·보건지소 의과 진료 가능자는 2명으로 줄어든다. 임시방편으로 공보 한의사를 지소장으로 두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현대바이오 "페니트리움, 전임상서 류마티스 관절염에도 효과"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암 병용 치료제 '페니트리움'의 류마티스 관절염 전임상(동물실험에서의 안전성·효능 검증) 단계에서 염증 억제 효과 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14일 현대바이오는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자회사 현대ADM과 함께 페니트리움의 류마티스 관절염 전임상 중간 결과를 공동 발표했다. 페니트리움은 면역을 억제하는 방식이 아닌, 염증을 지속시키는 병리적 구조인 섬유아세포(CAF)와 세포외기질(ECM)을 제거하는 구조 기반 치료 전략을 따른다. 이 치료제는 이른바 '가짜내성'을 해결할 수 있다고 현대바이오는 주장했다. 가짜내성은 약물 자체의 문제가 아닌 ECM의 병적 경직화에 의해 약물과 면역세포의 접근이 차단되는 현상을 말한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류마티스 관절염 전임상에서 페니트리움은 단독 투여군에서 양성대조군인 면역억제 치료제(MTX) 대비 유사하거나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면역억제제와 병용할 경우 완전관해도 관찰됐다고 한다. 완전관해는 질병의 징후가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완치와는 다르다. 회사는 페니트리움 투약 9일 만에 효능이 입증됐다면서 용량을 높일수록 더 큰 치료 효과가 입증됐다고 전했다. 또 췌장암, 유방암 동물시험과 유사한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