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 모든 유형 세포 정보 담긴 '인간 세포 지도' 초안 완성

인간 세포 지도 컨소시엄, 최신 연구성과 논문 40여편 '네이처' 등에 공개

 인간의 건강과 질병을 세포 수준에서 이해하기 위해 모든 유형 세포의 상세 정보가 담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인간 세포 지도'(HCA:Human Cell Atlas) 초기 초안이 완성됐다.

 2016년부터 인체의 모든 세포 유형에 대한 생물학적 아틀라스를 구축해온 HCA 컨소시엄은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와 자매 학술지에 40여 편의 논문으로 공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들 논문에는 태반과 골격의 형성 과정, 뇌 성숙 과정의 변화, 새로운 장 및 혈관 세포 상태, 코로나19에 대한 폐 반응, 유전적 변이가 질병에 미치는 영향 등 다양한 성과가 포함돼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어 "조직 내의 특정 유전자, 메커니즘 및 세포 유형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통해 더 정밀한 진단, 혁신적인 약물 발견, 첨단 재생의학 접근법 등의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며 "이미 건강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변화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HCA 컨소시엄은 생명의 기본 단위인 모든 인간 세포에 대한 포괄적인 참조 지도를 만들기 위한  국제 협력 이니셔티브로, 2016년 챈 저커버그 재단, 영국 웰컴트러스트, 미국립보건원(NIH) 등의 지원으로 설립됐으며 102개국 3천600명 이상의 연구자가 참여하고 있다.

인간 폐 조직

 이들은 공개된 논문들은 세 가지 주요 영역에서 최근 성과를 잘 보여준다며 첫째로 세라 테이크만 교수팀 등이 두개골 뼈와 고관절, 무릎, 어깨 관절을 이루는 세포 등 인간 발달 조직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한 점을 들었다.

 이어 둘째로 발현 프로파일을 토대로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활용해 유사한 세포를 검색하는 방법 등 새로운 분석 도구를 개발했고, 셋째로는 특정 생물학적 시스템에 대한 데이터 통합 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또 영국 생어 연구소 어맨다 올리버 박사팀은 입안 조직부터 식도, 위, 장, 결장에 이르는 위장관 아틀라스를 구축했다.

 이 아틀라스에는 크론병 같은 염증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데이터도 포함돼 있다.

 스위스 취리히 연방 공대(ETH Zurich) 바버라 트로이틀라인 교수팀은 뇌 발달 과정을 연구할 수 있는 뇌 오르가노이드 세포 아틀라스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HCA 세포 초안 지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진전을 이룬 것으로 세포 다양성이 질병 치료에 대한 개인의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 세포 수준에서 질병의 유전적 토대를 조사하는 데 기여하는 등 큰 활용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HCA 컨소시엄이 연구 중인 18가지 생물학적 네트워크

◆ 출처 : Nature

Sarah Teichmann et al., 'A multiomic atlas of human embryonic skeletal development',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4-08189-z

Barbara Treutlein et al., 'An integrated transcriptomic cell atlas of human neural organoid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4-08172-8

Sarah Teichmann et al., 'Single-cell integration reveals metaplasia in inflammatory gut disease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4-07571-1

Aviv Regev et al., 'The Human Cell Atlas from a cell census to a unified foundation model',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4-08338-4 등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같은 지혈제인데 최대 228배 가격차…미등재 비급여 관리해야"
같은 회사에서 나온 같은 성분의 지혈제인데 건강보험 급여 여부에 따라 가격이 최대 228배 벌어져 관리가 시급하다는 시민사회단체의 지적이 나왔다. 가격 차이가 크다 보니 일부 의료기관에서 동일한 제품을 비급여로 사용해 환자에 비용을 전가하는 일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지난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등재 미신청 비급여 의약품'의 가격 실태와 개선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경실련에 따르면 의약품의 경우 의료행위나 치료재료(치료에 사용되는 소모성 의료기기)와 달리 비급여 결정 신청 의무가 없다. 건보 급여를 받지 않기로 했다면 아예 등재를 신청하지 않아도 무방하다는 의미다. 이런 제품은 '등재 미신청 비급여 의약품'으로 사용된다. 문제는 상처부위에 직접 바르거나 대는(외용) 지혈보조제나 국소마취제, 살균용 거즈 등 치료재료의 성격을 가지는 의약품이다. 사실상 치료재료로 쓰지만, 의약품으로 볼 수도 있어 제약사 등 이 건보에 등재조차 하지 않은 채 비급여 의약품으로 공급한다는 것이다. 경실련은 "제도의 허점을 이용해 제약사 등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품의 등재를 회피하고 의료기관은 급여 대신 고가 비급여로 환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더워서 잠을 못 자겠네…"18∼20도가 숙면에 적당한 온도"
장마가 끝나고 당분간 찜통더위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열대야에 맞서 잠을 깊이 자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3일 이화여대의료원에 따르면 무더운 여름철에는 불면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불면 증상은 환자들이 호소하는 수면의 질 저하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주로 잠들기 힘들거나 수면 중간에 계속 깬다, 한번 깨면 다시 잠들기 힘들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선잠을 잔 것처럼 피곤하다고 하는 경우 불면 증상이 있다고 판단한다. 이런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면 적극적인 치료를 요구하는 불면 장애로 진단된다. 밤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열대야에는 불면 증상을 느끼는 사람들이 더 많아질 수 있다. 김선영 이대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숙면을 할 수 있는 적당한 온도는 18∼20도"라며 "열대야에는 체온조절 중추가 각성해 쉽게 잠이 들지 못하고 깊은 수면에 드는 것도 방해된다"고 말했다. 또 "여름철의 고온다습한 환경과 긴 일조 시간도 멜라토닌 분비 억제와 생체리듬 변화에 영향을 줘 수면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불면에 명확한 원인이 있다면 해당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우선이지만,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수면 위생을 개선하고 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