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또래보다 건강해" 인식 비율, 무자녀·고학력일수록 커

성인 58%는 만성질환 앓아…고지혈증-고혈압-비염·축농증-디스크 순

 대학교에 다닌 사람, 자녀가 없는 사람,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또래보다 건강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의 '2024 건강투자 인식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동일 연령대 대비)은 학력, 자녀 유무, 경제활동 여부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원은 지난 8월 만 19세 이상∼만 70세 미만 성인 2천명을 대상으로 해당 조사를 실시했다.

 자녀가 없는 이들의 '건강하다' 응답 비율은 39.0%로 유자녀(35.7%)보다 3.3%포인트 높았다.

 다만 무자녀 응답자는 '건강하지 않다'고 답한 비율(20.3%)도 유자녀 응답자(13.7%)보다 높았다.

 근로·경제활동을 하는 응답자들의 '건강함' 비율은 38.5%,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응답자들은 29.0%였다.

 '건강하지 않음'은 경제활동자 16.1%, 비경제활동자 21.6%였다.

 개발원은 응답자들을 월평균 소득에 따라 200만원 미만, 200∼400만원미만, 400∼600만원미만, 600∼800만원미만, 800만원이상으로 구분해 조사하기도 했다.

 그 결과 '동일 연령대 대비 신체적으로 건강하다'고 답한 비율은 구간별로 31.2%, 37.7%, 38.2%, 52.5%, 41.8%였다.

 600만원이상∼800만원 미만 구간에서 '건강하다'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성별로 보면 60대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남성의 '건강함' 비율이 여성보다 높았다.

 한편, 해당 조사 응답자의 58.2%는 만성질환 보유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로부터 진단받은 적이 있는 질환 여부'를 묻는 항목의 응답 중에는 고지혈증이 19.9%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고혈압(18.3%), 만성 알레르기성 비염 혹은 축농증(14.6%), 디스크(9.8%) 순이었다.

 만성질환자들의 48.8%는 1개의 만성질환을, 29.5%는 2개, 16.6%는 3개, 5.2%는 4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갖고 있다고 답해 평균 1.8개로 집계됐다.

 대부분의 질환은 보유 비율이 연령대가 높을수록 컸지만, 만성 비염이나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컸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참사 지켜본 아이들…트라우마 겪지 않게 하려면
지난해 12월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제주항공 여객기가 동체 착륙하면서 179명이 숨지는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졌는데요. 한순간에 소중한 가족과 친구를 잃은 이들의 정신적인 충격과 이에 따른 후유증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계는 재난 트라우마가 사고 직후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희생자 중 11명이 초중고생으로 확인되면서, 사고를 접한 또래 아이들의 트라우마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제주항공 희생자 분향소가 마련된 서울시청 본관 앞에서 자녀를 둔 시민들을 만나봤는데요. 정윤희(40, 서울 양천구) 씨는 "동생 또래 애들도 하늘나라에 갔으니까 많이 격려해주고 좋은 기도를 해주고 오자고 아이한테 말해서 같이 오게 됐다. 아이가 처음에는 TV를 가릴 정도로 무서워해서 이불 뒤집어쓰고 그랬는데, 엄마 아빠가 좋은 말을 계속 옆에서 해주니까 긍정적으로 버티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윤정(40, 서울 강동구) 씨는 "학교에 가거나 하면 선생님들한테 (제주항공 참사 관련) 이야기를 듣고, 놀이터에서도 그 이야기를 하더라고요. 아이들한테 더는 그런 슬픈 뉴스가 나오지 않는 게 더 좋을 것 같다"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