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강 유역 주민 4.5% 장내기생충 감염…"민물고기 생식 주의"

질병청, 5대강 39개 지역 조사…감소 추세지만 전년比 감염률 0.8%P↑

 5대강 유역 주민 100명 중 5명가량이 간흡충, 장흡충 등 장내기생충에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3∼10월 한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영산강 주변 39개 시군 주민 2만6천958명을 대상으로 장내기생충 11종 감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 감염률이 4.5%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전년도 3.7%보다는 0.8%포인트 늘었지만, 10%를 웃돌던 2010년 무렵과 비교하면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다.

 기생충 중에서도 담관암을 유발하는 발암성 병원체인 간흡충의 경우 감염률이 2.3%로 역시 감소 추세지만 작년보단 0.4%포인트 늘었다.

 장흡충 감염률은 1.9%, 편충 0.2%, 참굴큰입흡충은 0.1%였다.

 간흡충, 장흡충 등은 식품 매개 기생충이다. 주로 자연산 민물고기 생식으로 감염된다.

 질병청과 지방자치단체가 2005년부터 강 유역 주민을 대상으로 식습관 개선 홍보 등 관리사업을 진행해 전반적으로 기생충 감염률이 낮아지긴 했으나 여전히 지역간 격차는 있다.

 올해 조사에서도 하동군(12.6%), 구례군(11.7%), 안동시(10.3%) 등 섬진강, 낙동강 유역 일부 지역에선 장내기생충 감염률이 여전히 10%대였다.

 전체적으로 섬진강 유역의 감염률은 6.3%, 낙동강 유역 3.9%, 한강과 영산강 유역 각각 2.3%, 금강 유역 0.9%로 조사됐다.

 50대 남성(9.8%)과 60대 남성(8.9%)의 감염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일부 감염률이 높은 지역 주민을 상대로 전수 조사를 하는 등 지자체와 협력해 감염을 예방하고 감시체계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질병청은 3∼4일 경북 경주에서 장내기생충 조사사업 평가대회를 열고 올해 실태조사 결과를 공유하면서 전문가 등과 함께 관리 발전방안을 논의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효소는 유전자가 설계한 기계처럼 작동한다"
우리 몸의 생화학 반응을 조율하는 효소가 실제로는 유전자가 설계한 나노 기계처럼 작동한다는 사실을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입증했다. 4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학과 츠비 틀루스티 특훈교수팀은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의 일라이셔 모지스 박사팀과 함께 효소 내부의 점탄성이 효소의 생물학적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효소는 음식물 소화, 에너지 생성, DNA 복사, 노폐물 처리 등 화학 과정을 활성화하는 생체 단백질이다. 효소는 작동할 때 구조가 열리고 닫히는 움직임을 반복하는데, 이때 단백질 전체가 단단하지도 흐물흐물하지도 않고 마치 스프링처럼 탄력 있게 움직이며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인 점탄성을 보인다. 효소는 점탄성을 통해 구조적 유연성과 안정성을 유지한다. 연구팀은 효소의 기계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점탄성이 망가지면 화학적 기능인 활성도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첨단 측정 기술을 통해 효소에서 기계의 완충 장치인 '쇼크 옵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고변형 영역'을 찾아내 이 영역의 아미노산 1개를 바꿔 돌연변이를 만드는 실험으로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고변형 영역은 효소 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