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식물 낙지다리, 토양중금속 제거에 효과…정원식물로 주목"

한수정 "자생식물 잠재적 가치 지속 발굴해 도시 정원문화 선도할 것"

 자생식물인 '낙지다리'가 토양 속 중금속 제거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한수정)은 낙지다리를 포함한 10종의 자생식물과 정원에서 흔히 사용되는 국외 품종의 토양 중금속 정화 능력을 비교한 결과 낙지다리가 비소(As), 카드뮴(Cd), 납(Pb) 등 유해 중금속을 제거하는 데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고 3일 밝혔다.

 특히 낙지다리의 경우 비소(As)와 카드뮴(Cd) 제거 효과가 국외 품종인 흰줄갈풀보다 5배 이상 높았으며, 납(Pb)은 10배나 높았다.

 자생식물 10종 모두 국외 품종에 비해 중금속 오염 토양에서도 안정적으로 생장함으로써 중금속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심상택 한수정 이사장은 "낙지다리 등 국내 자생식물이 중금속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정원식물로 주목받고 있다"며 "도시생태계 기능과 보전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만큼 자생식물의 잠재적 가치를 지속 발굴해 환경친화적인 도시 정원문화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적정 의사 수는?' 수급추계위원회 구성 완료…내달 초 첫 회의
보건복지부는 31일 향후 의사인력이 얼마나 필요한지 추계하는 독립 심의기구인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 위원을 위촉했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수급추계위원회 구성을 위해 보건의료 공급자단체, 수요자단체, 학회·연구기관 등 21개 관련 단체·기관으로부터 다양한 전문가를 추천받았고, 이 가운데 전문성 등을 고려해 위원 15명을 위촉했다. 15명의 위원 가운데 대한의사협회 등 공급자 단체 추천위원이 8명,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등 수요자 단체 추천위원이 4명, 학회·연구기관 추천위원은 3명이다. 보건의료기본법에 따라 공급자 단체 추천위원이 과반을 차지한다. 수급추계위원장은 추후 학회·연구기관 추천위원 중 호선할 예정이다. 수급추계위원회는 8월 초 1차 회의를 시작으로 중장기 의사 인력 수급추계를 위한 모형, 방법, 가정, 변수 등 구체적인 사항을 본격적으로 논의한다. 향후 위원회 일정 등은 1차 회의에서 논의를 거쳐 정한다. 복지부는 위원회 구성·운영을 통해 수급추계의 전문성·독립성·투명성과 추계 결과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은 "의사인력 수급추계는 2027년 이후 의대 정원 결정과 의사인력 정책 수립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작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