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염전서 자외선 차단 색소 생산하는 원핵생물 발견

국립생물자원관·인천대 연구진, 호염성 고균 11종 확인

 강력한 자외선 차단력과 항산화 능력이 있는 색소를 생산하는 생물을 국내 연구진이 염전에서 발견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서명지 인천대 교수 연구진과 함께 인천 염전에서 '박테리오루베린'을 생산하는 호염성 고균 11종을 발견했다고 12일 밝혔다.

 고균은 DNA가 없는 원핵생물로, 극한 환경에서도 살 수 있다.

 호염성 고균은 할로박테리움강(Halobacteria)에 속하는 고균을 일컫는 말로 염전처럼 염분 농도가 9% 이상인 고염(高鹽)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한국은 현재 박테리오루베린를 전량 수입하고 있다고 자원관은 설명했다.

 이번에 발견된 호염성 고균 중 5종은 빛을 이용해 신경세포를 제어할 수 있는 유전자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 유전자는 '할로로돕신'(Halorhodopsin) 생산에 관여하는데, 할로로돕신은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로 신경세포 활동을 억제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를 내년 상반기 국제 학술지에 투고하고 활용을 위한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효소는 유전자가 설계한 기계처럼 작동한다"
우리 몸의 생화학 반응을 조율하는 효소가 실제로는 유전자가 설계한 나노 기계처럼 작동한다는 사실을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입증했다. 4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학과 츠비 틀루스티 특훈교수팀은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의 일라이셔 모지스 박사팀과 함께 효소 내부의 점탄성이 효소의 생물학적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효소는 음식물 소화, 에너지 생성, DNA 복사, 노폐물 처리 등 화학 과정을 활성화하는 생체 단백질이다. 효소는 작동할 때 구조가 열리고 닫히는 움직임을 반복하는데, 이때 단백질 전체가 단단하지도 흐물흐물하지도 않고 마치 스프링처럼 탄력 있게 움직이며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인 점탄성을 보인다. 효소는 점탄성을 통해 구조적 유연성과 안정성을 유지한다. 연구팀은 효소의 기계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점탄성이 망가지면 화학적 기능인 활성도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첨단 측정 기술을 통해 효소에서 기계의 완충 장치인 '쇼크 옵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고변형 영역'을 찾아내 이 영역의 아미노산 1개를 바꿔 돌연변이를 만드는 실험으로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고변형 영역은 효소 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