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겨울 라니냐 발생 확률 55%…강도 약하고 지속 짧을 듯"

세계기상기구 전망…라니냐·엘니뇨 모두 아닐 가능성도 45%
라니냐 발생 시 겨울 기온 낮은 경향…일반화는 어려워

  올겨울 적도 부근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예년보다 낮은 '라니냐'가 발생할 수 있으나 강도가 약하고 지속 기간도 짧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기상청이 11일 밝혔다.

 겨울에 라니냐가 발생하면 우리나라는 평년보다 기온이 낮은 경향이 있다.

 세계기상기구(WMO)가 이날 발표한 라니냐·엘니뇨 전망을 보면 올해 12월부터 내년 2월까지 라니냐가 발생할 확률은 55%, 라니냐도 엘니뇨도 발생하지 않은 '중립' 상태일 확률은 45%, 엘니뇨가 발생할 확률은 0%로 제시됐다.

 현재는 지난 5월부터의 중립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엘니뇨는 16세기에도 기록이 있을 정도로, 엘니뇨와 라니냐 모두 자연현상이며 기후변화가 원인은 아니다.

 다만 기후변화로 인해 엘니뇨와 라니냐의 빈도와 강도가 변하고 있으며, 엘니뇨와 라니냐가 온난화를 부추기거나 억제하기도 하기도 한다.

 올겨울 라니냐가 발생해도 감시구역 해수면 온도가 평년에 견줘 0.5∼1.0도 정도만 낮은 약한 수준이겠다.

 또 지속 기간이 짧아 봄이 되면 다시 중립 상태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다.

 열대 중·동태평양의 수심 50∼100m 해저 수온이 평년보다 낮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나 이 지역에 예년보다 서풍이 강하게 불면서 해저 찬 바닷물이 해수면으로 올라오지 못해 라니냐 발달이 지연되고 있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라니냐 발생 시 전 지구적으로 서태평양 쪽에 비가 많이 내리고 중태평양 쪽은 강수량이 적은 경향이 있다.

라니냐 발생 시 우리나라 겨울 기온과 강수량 평년 편차.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리나라는 겨울 기온이 평년보다 낮고 12월 강수량이 적은 경향이 있으나 일반화하기 어려워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예컨대 라니냐 해였던 2016년 12월엔 경향과 달리 전국 평균기온(2.7도)이 평년보다 1.6도 높고 강수량(65.0㎜)이 평년보다 28.0㎜ 많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40년 名家 '심장병 사관학교' 세종병원 가보니…"심장만큼은 빅5"
"우리나라 연간 심장이식 수술이 200건 정도 되는데, 그중 두 건이 오늘과 내일 인천세종병원에서 이뤄집니다. 지금 막 심장이식팀이 기증자가 있는 병원에서 심장을 떼고 출발했어요." 지난 17일 찾은 인천세종병원에서 이 병원을 운영하는 혜원의료재단 박진식 이사장(심장내과 전문의)은 고난도 수술을 앞두고 바짝 긴장했다. 의료진은 심장수술이 정점에 위치한 이식수술에 이미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었다. 오병희 병원장은 "이식팀이 실시간으로 심장의 위치와 상태를 중계하면 수술팀은 그에 맞춰 환자 가슴을 미리 열어놓고, 3시간 이내에 심장이 도착하자마자 바로 이식한다"고 설명했다. 인천세종병원은 지난해 15건의 심장이식수술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재단이 운영하는 부천·인천 세종병원은 2차 종합병원이지만 '심장수술의 명가'답게 심장 분야에서 '빅5' 상급종합병원급 규모와 난도의 진료·수술을 한다. 1982년 개원한 부천세종병원은 301병상 규모의 대한민국 유일 심장전문병원이다. 인천세종병원은 2017년 문을 열었고 307병상을 운영한다. 이들 병원은 심장이 거의 뛰지 않는 환자가 다는 에크모(ECMO·인공심폐장치)와 흉부 절개 없이 인공판막을 삽입하는 타비(TAVI),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항암제 병용요법 보험적용에 암환자 숨통…희귀질환자 접근성은
다음 달부터 암 환자들이 기존 건강보험 적용 항암제와 비급여 항암 신약을 함께 사용하더라도 기존 약에 대한 건강보험 혜택을 계속 받을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내용의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 사항(약제) 일부 개정 고시안'을 지난 18일 행정 예고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번 개정안을 '급여기준 개선의 첫걸음'이라고 논평했으며, 글로벌 제약사 모임인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도 환영 의사를 표했다. 다만 이들 환자단체와 제약업계 모두 이번 개정안을 환영하면서도 국내 환자들의 낮은 치료 접근성을 언급하며 약가 제도 및 건강보험 급여체계 개편 논의가 환자 중심으로 진전되기를 바란다고 평가한 점은 주목할만한 부분이다. 두 제도 모두 정부의 재정 안정성이 환자 치료 기회 보장보다 우선시되고 있다는 지적을 오랫동안 받아왔다. 대부분 고가인 혁신 신약 및 병용 위주로 변화하는 항암 치료법이 해외에서는 이미 도입됐지만 국내 환자들은 비교적 뒤늦게 급여 혜택을 받게 됐다. 지난 달 17일 국회에서 열린 '병용요법의 암 환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서동철 중앙대 약학대학 명예교수는 "제약업계의 항암 치료 파이프라인(개발 중인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