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양미리가 돌아왔다…항 주변 굽는 냄새 코끝 자극

어획량 196%·어획고 203% 증가…도루묵은 여전히 안 잡혀

 한동안 잡히지 않던 겨울철 동해안 특산 어종인 양미리(까나리) 어획량이 크게 늘었다.

 24일 강원특별자치도 글로벌본부에 따르면 지난주 양미리 어획량은 175t으로 전주 86t보다 어획량은 196%, 어획고는 203% 수준이었다.

 강릉시 132t, 속초시 40t, 고성군 3t이었다.

 양미리 풍어로 강릉 사천항과 주문진항 등에는 주민들이 모여 그물에 가득 걸린 양미리를 떼어내는 진풍경이 연출되고 있다.

 주민들이 직접 항구로 양미리를 사러 오는 발길도 이어진다.

 특히, 항 주변 횟집 등에서는 양미리를 숯불이나 연탄불에 굽는 고소한 냄새가 진동하며 관광객의 코끝을 자극한다.

 그러나 올해 들어 지금까지 양미리 총어획량은 824t으로 작년 같은 기간 1천39t, 3년 평균 967t에는 아직 크게 못 미친다.

 동해안 특산 어종인 오징어와 문어, 도루묵, 방어, 복어 등도 전주보다 어획량이 많이 감소했다.

 특히 양미리와 함께 겨울철 특산 어종인 도루묵은 32t이 잡히는 데 그쳐 전주 66t의 절반에 불과했다.

 올해 도루묵 총어획량은 전년의 64%, 3년 평균의 26%로 오징어 등과 함께 동해안 대표 어종의 명성이 무색해졌다.

 또한, 고성을 비롯한 강원 북부 해역에서 많이 잡히던 방어도 수온 하강으로 어군이 남하하면서 어획량이 전주 286t의 26%인 75t 수준이었다.

 강원특별자치도 글로벌본부 관계자는 "풍랑특보 발효 등으로 양미리와 붉은대게를 제외한 주요 어종의 어획량이 부진했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국내 토양 미생물서 '슈퍼박테리아' 잡는 항생물질 발견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슈퍼박테리아'가 된 황색포도알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물질을 발견했다고 국립생물자원관이 30일 밝혔다. 자원관은 고려대·건국대 연구진과 공동연구를 통해 '스트렙토마이세스 카나마이세티쿠스'라는 국내에 자생하는 토양 미생물(방선균)에서 '스베타마이신 C'(Svetamycin C)라는 항생물질이 생산되는 것을 확인했다. 방선균은 주로 흙에 사는 미생물로 현존하는 항생제 60%가 방선균에서 유래했다. 스베타마이신 C는 2017년 국제 학계에 처음 보고된 펩타이드 계열 항생물질로 국내에서 발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스베타마이신 C는 페니실린계 항생제인 메티실린에 내성을 지닌 황색포도알균에 대해 '최소억제농도'가 12.5㎎/ℓ였다. 최소억제농도는 특정 항생물질이 세균의 증식을 눈에 띄게 억제할 수 있는 가장 옅은 농도로 값이 낮을수록 억제력이 강하다는 의미다. 1961년 영국에서 처음 발견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은 메티실린 외에도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대표적인 슈퍼박테리아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을 신규 항생제 개발이 시급한 병원균으로 지정했다. 황색포도알균은 피부나 코점막에서 흔히 발견되는